지중해서 익사하는 난민들 ‘유럽 인도주의’ 침몰 위기

지중해서 익사하는 난민들 ‘유럽 인도주의’ 침몰 위기

입력 2014-06-04 00:00
업데이트 2014-06-04 0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이민자 80만… 각국 육로 막아 대재앙

“누가 보트를 타고 온 사람들을 위해 울어 줄 것인가.”

지난해 7월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중해의 작은 섬 람페두사를 찾아 바다를 건너다 죽은 난민들의 영혼을 위로했다.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과 아프리카 대륙 사이에 있는 작은 돌섬 람페두사는 아프리카와 중동 이주자들이 유럽으로 가는 관문이다. 이 섬의 비행장 격납고엔 조악한 배를 타고 건너다 익사한 이들을 안치한 관이 항상 즐비하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3일 “유럽 인도주의가 대재앙에 직면했다”며 지중해를 건너는 난민들의 비참한 생활과 죽음을 전했다. 유럽연합(EU)의 국경관리기관 ‘프론텍스’는 올해 지중해를 건너려는 이민자가 8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올 들어 이탈리아로 건너온 난민만 4만 2000여명이나 된다. 여름이 시작되는 6월부터는 이른바 ‘보트 시즌’이 도래해 더 많은 이민자가 지중해를 건널 것이다. 난민들이 위험천만한 바닷길을 이용하는 이유는 유럽 각국이 육지의 국경선에 높은 담을 쌓고 전류가 흐르는 철조망을 쳐 놓았기 때문이다. 시칠리아 섬의 엔조 비나코 시장은 “익사한 난민들과 함께 유럽의 양심도 묻어야 할지 결정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문제가 심각해지자 유엔난민기구(UNHCR)는 이탈리아와 그리스의 요구를 받아들여 이집트, 리비아, 수단 등에 거대한 난민 수용소를 만들기로 했다. 그러나 인권단체 휴먼라이츠는 “인권 개념이 전혀 없는 국가에 난민 수용소를 만들면 안 된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앰네스티도 “UN과 EU가 난민들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인도주의의 문’을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창구 기자 window2@seoul.co.kr

2014-06-04 1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