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연구팀 “빈혈 산모가 산후 우울증 위험 60% 더 높다”

日연구팀 “빈혈 산모가 산후 우울증 위험 60% 더 높다”

김태균 기자
입력 2019-04-17 11:24
업데이트 2019-04-17 1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빈혈이 있는 여성들은 산후 우울증 발생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60%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일본 국립성육(성장)의료연구센터 연구팀은 ‘임신 중기’, ‘임신 후기’, ‘출산 후’ 등 각 단계별로 혈액검사 데이터가 있는 여성 977명(평균 36세)을 대상으로 산후 1개월 시점의 우울증 유무를 조사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우울증 (PG) [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연합뉴스
우울증 (PG) [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연합뉴스
조사에서 빈혈 증상이 있는 여성은 임신 중기 193명(19.8%), 임신 후기 435명(44.5%), 산후 432명(44.2%)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산후 우울증이 나타난 사람은 196명(20.1%)이었다.

연구팀은 “산후 빈혈이 있는 여성은 빈혈이 없는 여성들에 비해 우울증 발병위험이 1.63배에 달했다”고 밝혔다. 빈혈이 중증일 경우의 우울증 발병 위험은 그렇지 않은 사람의 1.92배, 경증은 1.61배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신 중기 및 후기의 빈혈과 산후 우울증과의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빈혈이 되면 전신의 권태감과 무기력감이 높아지고 피로가 쉽게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우울증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산후 우울증은 임산부 사망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살의 주요 원인”이라면서 “빈혈 치료를 통해 위험한 산후 우울증의 발병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연구팀의 오가와 고헤이 산부인과 전문의는 마이니치에 “객관적 지표가 될 수 있는 혈액검사를 통해 산후 우울증을 평가한 데 이번 연구의 의미가 있다”면서 “가벼운 빈혈도 방치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