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들 죽인 사형수를 용서합니다

내 아들 죽인 사형수를 용서합니다

입력 2014-04-18 00:00
업데이트 2014-04-18 0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란 살인범 사형 직전 풀려나… 피해자 부모가 보복 처형 포기

검은 천으로 눈이 가려진 청년이 끌려 나왔다. 공개 처형을 지켜보려고 사람들이 몰렸다. 교수대에 올려진 청년의 목에는 차가운 올가미가 드리워졌다. 청년은 두려움에 마지막 숨을 깊게 몰아 쉬었다.

중년 부부가 교수대 앞으로 나왔다. 범인에게 열여덟 살 아들을 잃은 부부는 그가 딛고 올라선 의자를 뺄 요량이었다. 이슬람 특유의 보복 처형 제도인 ‘키사스’에 따라 부부는 의자를 빼 범인의 숨통을 조일 권리가 있었다. 적막이 흘렀다. 부인은 손을 부르르 떨며 범인의 뺨을 한 대 때렸다. 남편은 말없이 범인의 목에서 올가미를 풀어줬다.

영국 가디언은 16일(현지시간) 이란의 반관영 통신 이스나를 인용해 이란의 살인범이 공개 처형 직전에 피해자 부모의 선처로 극적으로 살아났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20대 후반의 발알은 7년 전 시장 골목에서 말싸움 끝에 흉기를 휘둘러 압둘라 후세인자데흐를 죽였다. 불과 얼마 전 둘째 아들을 오토바이 사고로 잃은 압둘라의 부모에게 큰아들의 죽음은 청천벽력 같은 일이었다.

재판은 6년간 계속됐고, 지난해 사형이 확정됐다. 이란에서는 살인범과 같은 흉악범은 공개 교수형에 처해진다. 복수심에 불탔던 부부는 점차 고민이 깊어졌다. 그를 죽인다고 해서 죽은 아들이 살아 돌아올 수는 없었다. 몇 차례 사형 집행일을 연기해 달라고 법원에 요청하기도 했다. 그리고 사형 집행을 며칠 앞둔 어느 날 밤 압둘라가 어머니의 꿈에 나타났다. 꿈에서 압둘라는 “저는 좋은 곳에 있어요. 보복하지 마세요”라고 했다. 이 꿈을 계기로 부부는 마음을 고쳐먹었다. 압둘라의 아버지는 “발알이 우리 아들을 고의로 죽였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발알의 어머니와 압둘라의 어머니는 형장에서 부둥켜안고 하염없이 울었다.

국제사회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란의 사형제도와 공개 교수형에 다시 강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국제앰네스티의 바하레 데이비스는 “부부의 결정에 경의를 표한다”면서 “범죄 예방효과가 전혀 없는 사형은 가장 잔인하고 비인간적인 처벌”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이란은 공개 교수형을 통해 폭력을 용인하고 부추기는 문화를 영구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앰네스티에 따르면 이란은 올해 들어서만 199명을 사형시켰다. 한 해 평균 700명의 사형이 집행된다. 어린이들이 공개 교수형을 구경하기도 한다. 지난해에는 교수형에 처해진 마약밀수범이 다음날 영안실에서 깨어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국제사회의 반발로 사형 재집행은 취소됐으나 그는 정신분열증을 겪으며 수감생활을 하고 있다.

이창구 기자 window2@seoul.co.kr
2014-04-18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