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은 가두리에 이렇게 많은 돌고래들이” 러시아의 ‘고래 감옥’

“좁은 가두리에 이렇게 많은 돌고래들이” 러시아의 ‘고래 감옥’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4-05 08:22
업데이트 2019-04-05 08: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린피스 러시아 “중국 해양공원에 비싼 값에 팔려고 끔찍한 짓”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언뜻 봐도 너무 좁은 가두리 안에 많은 벨루가 돌고래들이 갇혀 있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러시아 정부가 극동에서 운영되고 있는 ‘고래 감옥’을 하루 빨리 해체해 100마리에 가까운 고래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프랑스 해양과학자 장미셸 쿠스토와 다른 전문가들은 모스크바를 찾아 정부 관리들을 만나고 있다. 장미셸 쿠스토는 TV 다큐멘터리를 통해 해양 생물의 보호 필요성을 강조한 탐험가 고(故) 자크 쿠스토의 맏아들이다. 이들은 관리들과 함께 6일 나홋카 근처 스레드냐야 만에서 11마리의 범고래와 87마리의 벨루가 돌고래를 가둬 키우는 고래 감옥을 둘러볼 계획이라고 영국 BBC가 4일 전했다. 이미 범죄 수사가 진행 중이다.

지난해 이곳이 처음 눈에 띄었는데 세 마리의 벨루가와 한 마리의 범고래가 사라진 상황이었다. 그린피스 러시아는 이들이 숨졌으며 몇개월째 가두리에 갇힌 많은 고래들의 건강이 좋지 않다고 보고 있다. 이 단체는 지난해 10월 러시아의 네 업체가 이 감옥 운영과 관련 있으며 포획 규정을 위반하고 동물들을 잔인하게 다루고 있다고 경보를 발령했다.

고래들은 오호츠크해에서 잡혔으며 그린피스는 최근 관광 붐이 일고 있는 중국의 해양공원에 팔려고 이런 끔찍한 시설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범고래는 수백만 달러, 벨루가 돌고래는 수만 달러를 받고 팔 수 있다.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날마다 고래들은 수십 ㎞를 헤엄쳐 다녀 체온을 유지하는데 이곳에서는 가두리가 너무 좁아 추위와 싸워야 한다. 지난 1월 그린피스 러시아가 촬영한 사진들을 보면 가두리 주위에 얼음이 그대로 방치돼 있어 고래들은 체온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피부 발진과 지느러미 퇴화 등을 보인 고래도 있었고 심지어 얼음에 상처를 입은 고래도 있었다.

할리우드 배우 레오나르도 디캐프리오는 소셜미디어 팔로어들에게 온라인 청원에 동참하라고 주장해 지금까지 143만명을 모았고, 전직 모델이며 베이워치 주연 배우이며 국제동물복지기금(IFAW)에서 활동하는 파멜라 앤더슨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고래들을 풀어주라고 요구했다. 평소 야생동물 보호에 관심이 높은 푸틴 대통령은 연방검찰과 정보기관 FSB가 힘을 합쳐 사건을 해결하라고 지시했다.

그린피스는 지난 2일 모스크바 도심에서 고래들의 곤경을 알리는 시위를 벌였다. 미국의 동물복지연구소를 비롯해 여러 해양생물 전문가들도 푸틴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내 긴급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가두리 크기를 늘리든지, 수온을 조금 높이든지, 풀어줘서 태어난 곳으로 돌아가게 하는 게 최선이라고 요구했다.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러시아 법률은 연구나 교육 목적으로만 고래를 포획할 수 있게 돼 있지만 이들은 중국 해양공원에 팔 목적으로 불법 포획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7월에도 러시아는 일곱 마리의 범고래를 중국에 불법 판매한 혐의로 수사를 벌였다. 영국의 고래와 돌고래 보존은 15마리의 범고래가 러시아 수역에서 포획돼 중국의 해양공원 물 속에 있다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미국과 캐나다, 호주는 살아있는 고래를 수입하거나 수출하는 행위 모두 금지하고 있다.

상업 포경은 국제포경위원회(IWC)가 1986년 중단 선언을 한 뒤 엄격하게 통제돼 왔으나 지난해 12월 일본이 재개한다고 일방적으로 발표해 논란이 됐다. IWC는 2017년 노르웨이가 432마리의 밍크고래를 북대서양에서 포획했으며 아이슬란드 역시 연안에서 17마리의 밍크고래를 포획했다고 보고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러시아 벨루가 돌고래.  AFP 자료사진
러시아 벨루가 돌고래.
AFP 자료사진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