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리뷰]젊은 피아니스트 2人 연주회 가보니

[공연리뷰]젊은 피아니스트 2人 연주회 가보니

입력 2010-03-03 00:00
업데이트 2010-03-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볼로도스 기교에 담긴 깊은 서정, 임동혁 내면 성숙함 묻어난 연주

지난달 27일 두 젊은 피아니스트의 공연이 연이어 열렸다. 한 명은 러시아의 젊은 거장 아르카디 볼로도스(38)였고, 다른 한 명은 한국을 대표하는 젊은 피아니스트 임동혁(26)이었다. 볼로도스는 오후 5시 경기 성남 성남아트센터, 임동혁은 오후 8시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에서 각각 연주를 펼쳤다. 다소 무리가 있었지만 욕심을 내 두 공연장을 찾았다. 이들의 연주를 비교 감상해 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던 까닭이다.

이미지 확대
첫 내한 공연에서 서정성 넘치는 연주를 선보인 러시아의 피아니트스 아르카디 볼로도스. 성남아트센터 제공
첫 내한 공연에서 서정성 넘치는 연주를 선보인 러시아의 피아니트스 아르카디 볼로도스.
성남아트센터 제공
우선 볼로도스. 그는 피아노를 마치 장난감처럼 가지고 노는 듯한 비범한 재주를 지녔다. 정교하고 화려한 기교, 압도적인 음량으로 분위기를 압도했다. 결코 음이 뭉쳐지지 않았다. 한 음 한 음이 너무나 명확했다. 그가 왜 20세기 최고의 피아니스트인 ‘블라디미르 호로비츠의 재래’라고 불리는지 알 만했다. 그에게 기교는 단지 하나의 재주에 불과했다. 사실 기교파 피아니스트들이 흔히 ‘과장된 해석’과 ‘서정성의 결여’로 도마 위에 오르곤 하지만, 볼로도스는 이런 비난에서 자유롭다. 오히려 그의 진가는 서정성이었다. 그가 연주한 스크리아빈의 프렐류드(전주곡)는 기교도 기교지만, 감각적인 색채감을 너무나 잘 표현해 냈다.

아쉬움이 있다면 임동혁 공연을 위해 자리를 일찍 뜬 탓에 앙코르를 듣지 못했다는 것. 무려 일곱곡이나 앙코르 공연을 선보였다는 소식에 아쉬움을 곱씹어야 했다.

예술의전당에서는 임동혁이 기다리고 있었다. 임동혁은 이번에 처음으로 프랑스 작곡가 ‘라벨’의 작품을 전면에 내세웠다. 평소 ‘쇼팽 스페셜리스트’로 명성을 날린 그가 새롭게 용기를 냈던 셈. 그가 연주한 라벨의 ‘밤의 가스파르’는 정확했다. 피아노사(史) 최고의 난곡으로 꼽히는 이곡을 그는 자유자재로 연주했다. 젊은 연주자답지 않은 내면적 성숙함도 담아냈다. 최근 모친상을 당해서인지 깊은 슬픔도 배어있는 듯했다.

다만, 감각적인 색채감이 주무기인 이 곡을 다소 ‘쇼팽스럽게’ 해석했다는 인상도 받았다. 그 누구보다 그의 신경질적인 타건을 사랑하지만, 라벨의 곡에서는 이런 타건이 도리어 음색을 다소 혼탁하게 만들었다는 아쉬움도 든다.

곁들여 관객의 휴대전화 예절에 대해 한마디. 이날 임동혁의 공연 도중 휴대전화가 1분가량 울려 ‘살벌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곡이 끝난 뒤 임동혁은 관객을 째려본 뒤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불쾌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 여파는 컸다. 공연 전체의 분위기가 흐려졌다. 조금만 주의했다면 이런 일은 없지 않았을까.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3-03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