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압? 눈치보기? 방송가 왜이러나

외압? 눈치보기? 방송가 왜이러나

입력 2010-06-02 00:00
업데이트 2010-06-02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송가가 시끄럽다. 녹화까지 끝낸 프로그램이 한달 넘게 전파를 타지 못해 진행자가 사퇴하는가 하면 인기 개그 코너가 갑자기 폐지돼 시청자들을 어리둥절하게 하고 있다. 그 배경을 놓고 ‘외압설’이 분분하다.

이미지 확대
여당 의원의 비판 발언 한 달 만에 방송에서 사라진 개그코너 ‘나를 술푸게 하는 세상’(왼쪽). 지난 23일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대통령 1주기 추도식에서 비를 맞으며 사회를 보고 있는 방송인 김제동(가운데). 예능프로 ‘1박2일’ 자진 하차 해명에도 불구하고 외압설에 시달렸던 김C(오른쪽).
여당 의원의 비판 발언 한 달 만에 방송에서 사라진 개그코너 ‘나를 술푸게 하는 세상’(왼쪽). 지난 23일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대통령 1주기 추도식에서 비를 맞으며 사회를 보고 있는 방송인 김제동(가운데). 예능프로 ‘1박2일’ 자진 하차 해명에도 불구하고 외압설에 시달렸던 김C(오른쪽).


방송인 김제동은 1일 케이블채널 엠넷의 ‘김제동쇼’ 진행자 자리를 내놓겠다고 밝혔다. ‘김제동쇼’는 지난 4월21일 가수 비를 초대해 첫 녹화를 마쳤지만 아직까지 방송이 나가지 않고 있다.

김제동 소속사인 다음기획 김영준 대표는 “김제동이 노무현 대통령 1주기 추도식 사회를 본 뒤 ‘김제동쇼’ 방송일정이 계속 미뤄졌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추도식 참석을 재고해 달라는 엠넷 측 요청을 김제동이 거절하자 ‘그렇다면 추도식 이후 방송 여부를 결정하자.’고 하더니 이후 계속 기다려 달라는 이해하기 힘든 말만 반복했다.”며 “편성 여부를 두고 누군가 예민한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고 있지 않은가 하는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엠넷 측은 “천안함 사태로 (‘김제동쇼’) 첫 방송이 미뤄졌고 그런 참에 6월 대규모 개편에 맞춰 방송을 내보내려 하고 있었다.”며 정치적 고려설 내지 외압설을 부인했다. 김제동은 지난해 10월 KBS 2TV ‘스타 골든벨’ 진행자에서 하차할 때도 외압설이 불거졌었다.

KBS 2TV ‘개그콘서트’의 인기 코너인 ‘나를 술푸게 하는 세상’은 지난 30일 방송이 나가지 않아 사실상 폐지가 확정됐다. 이 코너는 취객들의 천태만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1등 지상주의를 풍자, 인기를 모았다. 이를 두고 정치권 입김이 작용한 것이라는 시각이 파다하다. “한 개그 코너에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는 대사가 나오는데, 어떻게 김(인규) 사장이 취임했는데도 그런 대사가 나오는 것인지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는 한선교 한나라당 의원의 지난 4월 국회 발언과 연관지은 시각이다.

네티즌 김기식씨는 KBS 홈페이지에 “코미디마저 국민의 바람을 떠나 정권 눈치를 살핀다면 그 코미디도 국민의 버림을 곧 받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석현 ‘개그콘서트’ PD는 “소재가 떨어져 없앤 것뿐”이라고 해명했다.

외압 논란은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광우병 파동 때 촛불 집회 무대에 오르는 등 사회 참여를 활발하게 했던 가수 윤도현이 2008년 ‘윤도현의 러브레터’ 등 2개 프로그램에서 하차할 때도 해석이 분분했다. 그러다 보니 김제동·윤도현과 같은 기획사 소속인 김C가 얼마 전 KBS 예능프로그램 ‘1박2일’에서 중도하차하자 “자의”라는 본인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외압설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렇듯 논란이 끊이지 않자 전문가들은 외압 실체 여부를 넘어 논란 자체가 창작자들의 상상력을 저해시키고 자기검열을 유발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탁현민(문화평론가) 한양대 겸임교수는 “해외에서는 팝스타들이 특정 정치세력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기도 하는데 우리의 경우 연예인의 사회 참여까지 통제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체제 순응적인 콘텐츠만 생산해 낸다면 결국 문화계의 다양한 발전을 가로막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0-06-02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