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리뷰] ‘벚꽃동산’

[연극리뷰] ‘벚꽃동산’

입력 2010-06-07 00:00
업데이트 2010-06-07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거대하고 입체적 무대 인상적… 연출의도 전달 아쉬워

통상적인 연극 작품에서 사람들이 보는 직사각형 형태의 무대 넓이가 1이라면, 그 무대 뒤에 숨은 공간은 3~4배인 3~4 정도는 돼야 한다고 한다. 그만큼 무대 위 한 장면을 위해 무대 뒤에서 준비해야 할 일이 많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관심을 모았던 그리고리 지차트콥스키 연출의 ‘벚꽃동산’은 일단 이런 경계를 허물어뜨린다. 연극은 무대 뒷공간을 다 까발린다. 까발리되, 무대 앞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 위에다 목조구조물을 대각선으로 크게 가로질러 입체적인 공간감을 극대화했다. 이는 무대 뒤 공간이 30m에 이르는 극장 특성 때문에 가능했다.

지차트콥스키와 오랫동안 호흡을 맞춰온 무대디자이너 에밀 카펠류시도 이런 극장이 흔치 않다는 점을 알고 매우 도전적으로 연출한 공간이라 한다. 여기다 대각선 건너편 무대를 그냥 버리지도 않는다. 무도회 등 몇몇 장면에서는 주요한 배경장면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영리함도 선보인다.

대각선으로 갈라진 무대를 두고 조명 등으로 강렬하게 표현한 명암대비, 깊은 공간감으로 인해 요새 유행하는 3차원(3D)처럼 관객들 시각에 확실하게 꽂히는 입체감과 원근감, 탁한 나무재질의 거대한 세트가 워낙 압도적이어서 등장인물을 찍어 누르는 듯한 느낌.

이는 19세기 말 제정 러시아라는 시공간적 상황에 가위눌린 채 발버둥치기 바쁜 개개인을 드러내기 좋은 장치로 보인다. 연극적인 맛 가운데 하나로 무대적 상상력을 꼽는다면, 흔히 접하기 어려운 이런 무대를 한번쯤 감상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지차트콥스키는 연출의도를 설명할 때 ‘라넵스카야는 몰락하는 철없는 지주’라는 기존 해석에 반대하면서 40대의 아름답고 발랄한 여성으로 설정했다고 언급했다. 긍정적 인물이라는 것이다.

원작은 멀리서 벚꽃나무가 잘리는 소리가 들리면서 연극을 마무리짓지만, 이번 작품은 비가 내리는 것으로 끝난다.

러시아에서는 떠나는 날에 비가 오는 것을 굉장한 길조(吉兆)로 여긴다고 한다. 긍정적인 해석을 부각시키려 했던 연출자의 의도가 녹아 있는 셈이다.

그러나 무대는 이런 긍정적 해석을 삼켜 버린다.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백인 대지주의 결기를 드러내는 스칼릿 오하라의 엔딩 클로즈업 장면 같은 느낌을 라넵스카야에게서 찾아보기 어렵다는 얘기다.

‘벚꽃동산’은 예술의전당이 엄선한 정극만 토월극장 무대에 올리는 ‘토월 전통연극’ 시리즈 12번째 작품이다. 13일까지. 3만~6만원. 1599-921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6-07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