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칠예작가 전용복 35년 옻칠인생

세계적 칠예작가 전용복 35년 옻칠인생

입력 2010-06-07 00:00
업데이트 2010-06-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리랑TV 8일 ‘… 투데이’

1991년 복원된 일본의 옻칠 건물 ‘메구로가조엔’. 일본이 자랑하는 문화 유산으로 세계 최대의 옻칠 건축물로 꼽힌다. 이 메구로가조엔 복원을 총괄 지휘한 사람이 한국인 전용복(57)이다. 아리랑TV의 ‘아리랑 투데이’는 8일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칠예작가 전용복을 만난다.

이미지 확대
세계적인 옻칠 예술가 전용복. “지금까지 작품 활동을 하면서 만족스럽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면서 진정한 장인 정신을 실천하고 있다.  아리랑TV 제공
세계적인 옻칠 예술가 전용복. “지금까지 작품 활동을 하면서 만족스럽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면서 진정한 장인 정신을 실천하고 있다.
아리랑TV 제공


그가 정식으로 옻을 접한 건 1976년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유독 옻칠한 장롱에 호기심이 많았던 그는 목재 회사에 취직, 4년간 몸을 담기도 했다. 하지만 갑작스레 ‘예린칠연구소’를 설립, 칠예작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유는 단순했다. 마냥 좋았다는 설명뿐이었다. “내가 죽었다 다시 태어난다 해도 옻칠을 하고 싶었다. 무척 힘든 작업이지만 깊이가 있어 알면 알수록 재미가 있는 작업이었다.”

옻은 옻나무의 진액이다. 15년 이상 자란 옻나무에 상처를 내면 그 상처의 치유를 위해 나무가 만들어내는, 사람으로 따지면 일종의 ‘딱지’인 셈. 100일간 20회에 걸쳐 채취하는 옻은 종이컵 한 컵 정도의 적은 양이라 더없이 귀할 뿐 아니라 최고의 도료이며 접착제다. “옻칠로 완성된 작품은 만 년을 견딘다. 신비한 재료가 아니면 이렇게 견딜 수 있겠나. 그렇기에 단 한 방울도 헛되게 사용하면 안된다.”

그가 인생의 전환점을 맞게 된 것은 1988년 일본에서였다. 일본 장인 3000여명을 제치고 메구로가조엔의 실내 장식 복원 공사 총책임자가 된 것이다. 지진으로 인해 손상된 작품을 부활시키는 어려운 작업이었다. 3년만에 작업을 마친 뒤에도 세계적인 규모의 칠예미술관인 일본 ‘이와야마 칠예미술관’을 7년간 운영했다.

일본에서는 끈질기게 귀화 제의도 했다. 하지만 전용복은 단번에 뿌리쳤다고 했다. “우리의 발밑에 있는 문화를 이렇게 한번 훑어봄으로써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고, 또 그것에 대해 배울 게 있으면 배우고 계승할 게 있으면 계승해서 하나의 역사로 만드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우리의 옻 문화를 만들어가는 작업에 최선을 다하고 싶을 뿐이다.” 그는 전통 문화와 장인 정신을 배우고자 찾아온 한류 스타 배용준, 김혜수에게도 옻칠을 가르치는 등 여전히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오전 7시 방송. 재방송은 오전 11시30분, 오후 2시.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6-07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