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익점’보다 800년 앞선 백제 면직물 발견

‘문익점’보다 800년 앞선 백제 면직물 발견

입력 2010-07-16 00:00
업데이트 2010-07-16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능산리 절터 출토 유물서

고려 말 때인 1363년 문익점이 중국에서 목화씨를 들여온 데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진 우리나라 면직의 역사를 800년이나 앞당길 수 있는 유물이 확인됐다. 부여 능산리 절터 유물을 전시 중인 국립부여박물관은 최근 유물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1999년 능산리 절터 제6차 조사에서 수습한 폭 2㎝, 길이 약 12㎝의 직물이 면직물임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이 직물은 능산리 절터 서쪽 돌다리 백제 유적 층에서 출토된 대나무 조각 안에 들어 있던 것이다. 함께 출토된 ‘창왕명 사리감’의 제작연도가 567년임을 감안할 때 국내 최고(最古) 면직물이라는 게 박물관 측의 설명이다. 지금까지 실물을 통해 확인된 가장 오래된 면직물은 안동 태사자 묘에서 출토된 흑피화(검정 소가죽으로 만든 장화)의 안쪽에 붙은 직물로, 고려 말 공민왕 때 제작한 것으로 추정됐다.

박물관은 한국전통문화학교 심연옥·정용재 교수팀과 함께 첨단 기자재인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종단 면을 관찰한 결과, 면 섬유의 특징이 뚜렷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즉, 목화에서 실을 뽑아 직조됐다는 것이다. 특히 고대의 일반적인 직물 직조법과는 달리 강한 꼬임의 위사(緯絲)를 사용한 독특한 직조방식의 직물 형태는 중국에서도 아직 그 예가 보고된 바 없어 백제인의 독창적인 직조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박물관은 덧붙였다.

삼국사기, 양서(梁書) 등 고문서에 ‘백첩포(白疊布)’라는 면이 있었다는 기록을 근거로 문익점 이전에 한반도에서 면직물이 생산됐을 것이란 주장은 학계 일각에서 꾸준히 제기돼 왔다. 문화재위원인 박윤미 경상대 강사(복식공예·직물)는 “문익점이 갖고 온 목화씨는 방적하기 편한 종류로 대량생산을 위한 것이고, 그 이전 삼국시대 때 이미 목화가 소량 재배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백제 면직물은 이런 가능성을 실물로 보여주는 첫 유물이란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

국내에서 출토된 고직물은 초기 철기시대 유적인 광주 신창동 출토의 직물처럼 잘 남아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극히 단편적인 자료로 전한다. 금속기 등 다른 유물에 고착되거나 경화된 상태로 남아 있어 직물 고유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 유물은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섬유와 실의 상태, 직물의 조직 등이 잘 남아 있어 사료적 가치도 크다. 조사성과는 오는 10월 국립부여박물관이 개최하는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정식 보고될 예정이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07-16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