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보도PP, 공론화에서 선정까지

종편·보도PP, 공론화에서 선정까지

입력 2010-12-31 00:00
업데이트 2010-12-31 16: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송통신위원회의 종합편성채널 및 보도전문채널 선정 작업이 선정기준 및 절차 마련과 사업자 신청,심사의 긴 관문을 지나 31일 사업자 선정 발표와 함께 종착역에 도달했다.

 방통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보도채널 사업자로 ㈜연합뉴스TV(연합)를 선정한 것을 비롯 종편 사업자로 제이티비씨(중앙),㈜씨에스티브이(조선),㈜채널에이(동아),㈜매일경제티브이(매경) 등 4개 사업자를 선정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뉴미디어 환경은 신문과 방송 등 전통적 미디어들의 생존 환경에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며,기존 매체와 신생하는 매체 간 경쟁 심화와 생존전략 마련에 대한 고민을 깊게 하고 있다.

 사업자 선정과 정책추진 과정에서 제기된 여러 사회적 정치적 논란에도 불구,뉴미디어 산업 육성과 다양성 확보 등의 과제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점에서 이번 사업자 선정과 추후 전개될 변화에 대한 기대 또한 높다.

 방통위는 2009년 7월 미디어 관련 입법 처리 후 내부 태스크포스(TF)를 구성,내부적으로 종편 및 보도채널 선정 준비에 착수했다.

 한동안 수면밑에 잠복하던 종편 도입 정책은 민주당 추천 몫의 상임위원 궐석이라는 변수에 부딪혀 이듬해 4월까지 휴지기를 거치다가 방송통신위원회가 5월 18일 선정 일정의 대강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공론화됐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당시 “사회 각층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합법.합리적이고 공정.공명하게 선정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며 연내 사업자 선정 완료 원칙을 공표했다.

 방통위는 이어 8월 17일 전체회의에서 기본 심사계획안을 공개하며 본격적인 선정 절차의 막을 올렸다.

 사회적 논란과 파급효과가 큰 만큼 사업자 선정방식과 사업자 수,심사배점 등 핵심 쟁점에 대해 복수안을 제시하며 일방적 심사기준 제시와 절차 진행이 초래할 수 있는 논란을 최대한 피하려는 신중한 자세를 나타냈다.

 이후 9월 2~3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방통위 주최로 열린 공식 공청회,다양한 언론 유관단체들이 주최한 토론회,웹사이트를 통한 의견 수렴 등 여러 방식으로 사회적 여론과 의견 수렴이 이뤄졌다.

 민주당과 재야 언론단체들의 문제제기에 따라 미디어 관련 입법의 적법성 여부가 지속적으로 논란이 돼왔으나,헌법재판소에 청구된 미디어 입법 관련 권한쟁의심판소송이 지난달 25일 기각되면서 적법성 논란은 일단 수그러들었다.

 이어 세부심사안 공개와 의결까지 마무리한 방통위는 11월30일,12월1일 이틀간 사업계획서 접수에 나섰다.

 애초 예상됐던 대로 주요 일간지와 경제지들이 대거 사업계획서를 제출했으며,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인 태광이 케이블연합컨소시엄을 표방하며 돌연 사업희망자로 가세,종편 레이스는 더욱 달아올랐다.

 보도채널로는 연합뉴스를 비롯 서울신문,헤럴드경제,CBS,머니투데이 등 5곳이 신청했다.

 방통위는 23일 이병기 전 상임위원을 심사위원장으로 하는 심사위원회를 구성,경기도 양평 한국방송광고공사 연수원에서 31일까지 본격적인 심사와 사업자 대상 청문심사를 진행했다.

 심사를 둘러싸고 각 사업희망자 등의 관심이 가열되자 방통위는 기존 입장을 바꿔 최 위원장이 직접 심사위원장을 공개하고 나서는 등 ‘투명성’ 확보와 논란 차단에도 부심했다.

 애초 30일 발표 예정이었으나 심사위원회 요청에 따라 하루 연기된 31일 공식 발표가 이뤄졌다.

 방통위가 종편 및 보도채널 선정을 완료하면서 미디어 지형을 근본적으로 뒤바꿀 전환의 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지만,동시에 다수 사업자 선정에 따른 사업성 확보 우려도 커지고 있다.

 김준상 방송정책국장은 이에 대해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규제기관이 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