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최북단 아이들의 ‘겨울 이야기’

몽골 최북단 아이들의 ‘겨울 이야기’

입력 2012-02-03 00:00
업데이트 2012-02-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일밤 EBS ‘세계의 아이들’

EBS ‘세계의 아이들’은 ‘몽골 유목민의 후예 다르하드족의 겨울 이야기’편을 3일 밤 8시 50분 방송한다.
이미지 확대
혹한 속에서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다르하드족 아이들의 겨울 이야기를 담은 EBS ‘세계의 아이들’.  EBS 제공
혹한 속에서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다르하드족 아이들의 겨울 이야기를 담은 EBS ‘세계의 아이들’.
EBS 제공


몽골 북서부 최북단 다르하드. 거대한 설원과 꽁꽁 얼어붙은 호수로 둘러싸인 이곳은 수세기 동안 유목 생활을 계속하는 다르하드족의 터전이다.

섭씨 영하 50도의 추위에도 다르하드족 아이들은 매일 새벽 6시면 개인 전용 썰매에 몸을 싣고 학교로 간다. 입김이 그대로 흰 서리가 되는 학교 체육관에서 아이들은 민소매 차림으로 농구를 즐긴다. 아이들은 혹한의 설원에서 소몰이하고 눈썰매를 즐기면서 자유롭게 뛰논다. 광대한 외몽골 평원의 주인으로 자연과 공존하는 법을 배우며 살아가는 다르하드 사람들. 모든 것이 얼어붙어 먹을 것이 귀한 이곳에서 겨울나기는 만만치 않은 문제다. 아빠와 함께 얼음을 구해 오는 일은 14세 소년 보르의 일과 중 하나다. 꽁꽁 언 얼음을 녹여 식수로 써야 하기 때문이다.

보르는 마을의 사냥꾼 대표를 맡은 아빠를 따라 처음 사냥에 나선다. 말, 소 등 유목민의 가축을 노리는 늑대를 잡기 위해서다. 보르처럼 다르하드족의 아이들은 어린 시절부터 대자연과 함께 사는 법을 배운다. 수세기 동안 몽골의 유목 생활을 배워 온 다르하드족 아이들은 부모와 같은 유목민의 삶이 싫지 않다고 말한다. 하지만 기후 변화로 대초원이 사막으로 변해 가면서 이들이 부모 세대와 같은 유목 생활을 이어 가기는 쉽지 않다. 대도시에서 의사가 되고픈 아이, 온 세상을 돌아다닐 수 있는 비행기 조종사를 꿈꾸는 아이 등 이제 이들은 저마다 새롭고 커다란 꿈을 품기 시작한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2-02-03 2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