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이범선 미발표 유작 ‘나의 피난기’ 발굴

작가 이범선 미발표 유작 ‘나의 피난기’ 발굴

입력 2012-03-22 00:00
업데이트 2012-03-22 1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계간 ‘본질과 현상’서 공개..”이범선이 작가 된 이유 담겨”

‘오발탄’, ‘학마을 사람들’을 남긴 소설가 학촌(鶴村) 이범선(1920-1982)의 미발표 유작이 공개됐다.

계간지 ‘본질과 현상’은 봄호에서 이범선의 1959년도 유작 ‘나의 피난기’를 공개했다.

이 글은 한국 전쟁을 몸소 겪은 이범선이 1·4 후퇴로 다시 서울을 뺏기자 가족을 이끌고 피난길에 올랐던 경험을 남긴 자전적 기록이다.

이범선은 이 글의 서문에서 “나의 평생에 있어 너무나도 기막히는 일이었기에 나는 여기 이것을 기록하여 자손들에게 영원히 남겨주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는 6·25라는 비극적 체험을 잊지 않고 기억하기 위해서 글을 쓰기 시작했다는 이범선의 고백과도 일맥상통한다.

1950년 12월, 중공군이 남하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이범선은 아내와 두 아이를 이끌고 한강을 건너 피난을 결심한다. 그해 6월 전쟁의 포화로 모든 것을 잃었던 끔찍한 기억 때문이다.

한강을 건너 노량진으로 가야 하건만 ‘제2 국민병’으로 돼 있어 징집 대상인 학촌은 경찰이 다리를 지키는 통에 선뜻 나설 수 없다. 결국 처자식을 먼저 수원의 지인에게 보내고 홀로 한강 이북에 남는다.

두고두고 처자식을 떠나보낸 것을 후회하던 그는 결국 탈북 피난민으로 위장, 징병을 피해 가족과 다시 만나게 된다.

가족을 만나고자 떳떳하지 못하게 징집을 피한 것에 대한 마음의 갈등, 피붙이 형제마저 등을 돌리게 하는 처참한 전쟁의 상흔 등을 현실적인 문체로 담았다.

김영성 ‘본질과 현상’ 편집장은 “’나의 피난기’는 이범선이 작가의 길을 선택하게 된 직접적인 이유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기록”이라고 평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