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만장 宮의 역사 현대적 언어로 되새기다

파란만장 宮의 역사 현대적 언어로 되새기다

입력 2012-09-22 00:00
업데이트 2012-09-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프로젝트’ 하지훈·서도호 등 12팀 퍼포먼스

하지훈 작가는 덕홍전 안에다 울룩불룩 재밌는 모양의 의자들을 대거 설치해뒀다. 크롬으로 마무리를 해서 표면은 번쩍번쩍한다. 주변 사물들이 모두 반사되는데 울룩불룩하다 보니 주변 사물들이 모두 다 변형됐다.

이미지 확대
덕수궁 중화전을 비추는 류재하 작가의 작품 ‘시간’. 경운궁, 덕수궁으로 이어져 오는 역사적 흐름을 드러낸다.
덕수궁 중화전을 비추는 류재하 작가의 작품 ‘시간’. 경운궁, 덕수궁으로 이어져 오는 역사적 흐름을 드러낸다.
물어 보니 의자란다. 에이 저게 무슨 의자야 싶은데 실제 앉아 보면 기댈 구석이 많아서 그런지 생각 이상으로 편안하다.

작가는 덕홍전이라는 공간에 주목했다. 덕홍전의 원래 이름은 경효전. 이 공간은 명성황후의 신주를 모셔놨던 곳이다. 한 나라의 지어미가 죽어 머문 곳이니 엄숙하고 신성한 공간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일제는 1912년 이 공간을 외부인 접견 장소로 바꿨다. 사람들이 들락거리는 시끄러운 공간으로 바꿔버린 것이다. 당연히 내부도 화려하게 바뀌었다. 이 묘한 불편함을 작가가 작품으로 표현한 것이다. 주변을 왜곡하지만 아름답고 편안한 의자에 앉아 쉬려니 금세 바늘방석 위에 앉은 것만 같다. 뒤틀린 역사 위에 앉아 쉬는 탓이다.

이미지 확대
덕수궁 덕홍전에 설치된 하지훈 작가의 ‘자리’. 화려한 곳에서 슬픈 역사의 환영을 드러낸다.
덕수궁 덕홍전에 설치된 하지훈 작가의 ‘자리’. 화려한 곳에서 슬픈 역사의 환영을 드러낸다.


이미지 확대
덕수궁 석어당에 마련된 김영석 작가의 ‘베터 데이즈’(Better Days). 덕혜옹주를 기리고 있다.
덕수궁 석어당에 마련된 김영석 작가의 ‘베터 데이즈’(Better Days). 덕혜옹주를 기리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12월 2일까지 덕수궁 전각 곳곳에 현대미술작품들을 배치해놓는 ‘덕수궁 프로젝트’를 연다. 중화전, 함녕전, 덕홍전, 석어당 등 덕수궁의 6개 전각과 후원에다 서도호, 하지훈, 이수경, 김영석, 정서영, 성기완, 류재하, 최승훈·박선민 등 12팀의 작가가 작품들을 설치했다.

서울 도심 궁궐을 두고 늘 싸우는 것 중의 하나가 보존이냐 활용이냐이다. 보존 쪽에서는 금이야 옥이야 건물이 어찌 될까봐 벌벌 떨고, 활용 쪽에서는 목조 건물은 사람 손길과 발길이 닿아야 좋다고 주장한다. 그러던 와중에 고관대작들끼리 소중한 문화재를 끼고 파티를 벌였네 어쩌네 하는 고발 뉴스가 번쩍 뜬다. 이번 전시는 “그렇다면, 이렇게 활용해보면 어떨까요?”라고 묻는 전시인 셈이다.

그래서 작품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그 공간이 품은 역사성을 작가들이 어떻게 현대적 언어로 풀어내느냐이다. 가령 함녕전은 덕수궁에서 대한제국을 선포했던 고종이 황제 자리를 빼앗긴 뒤 승하할 때까지 머물렀던 곳이다.

이 공간을 맡은 서도호 작가는 ‘집의 작가’답게 깨끗하게 청소하고 도배를 새로 하는 등 고스란히 고종의 체온을 되살리는 작업에 몰두했다.

고종이 잘 때마다 항상 보료 3채를 깔았다는 사실에 맞춰 보료도 제작했다. 말년을 맞은 고종의 숨결을 고스란히 되새기게 한다.

석어당에는 이수경 작가가 LED 조명으로 눈물 조각을 설치해뒀다. 말 그대로 물방울 다이아몬드 모양의 거대한 눈물 한 방울인데 요모조모 보다보면 환생을 약속하는 연꽃 같아 보이기도 하고 묘한 느낌을 준다. 석어당은 임진왜란으로 피란 다녀야 했던 선조가 머물다 숨진 곳이고, 순종이 아내를 잃은 곳이기도 하다.

석어당의 반대편에는 김영석 작가가 덕혜 옹주의 한 시절을 고스란히 복원해뒀다. 직접 일본으로 건너가 수집해 온 것들로 일제에 의해 일본으로 끌려갔다가 정신병을 얻는 등 불행한 삶을 살았던 옹주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최승훈·박선민 팀은 덕수궁 마당 한켠에서 ‘결정(結晶) vs 결정(決定)’이란 작품을 선보인다. 원래 덕수궁은 지금보다 3배나 컸으나 차츰 줄어들었다는 점에 착안했다. 한순간 응고했던 결정이 그 당시 그런 상태로 결정된 것이다. 그러나 시간의 힘 앞에 차츰차츰 또 다른 변화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 그것을 크리스털 블록을 펼치고 쌓고 허무는 구조를 통해 선보인다.

설치작품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담은 각종 아카이브 자료 등 50여 점은 10월 28일까지 덕수궁미술관 내에서 따로 전시된다. 덕수궁 입장료는 1000원. 덕수궁미술관 입장료는 2000원. 초중고생은 무료. (02)2188-600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9-22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