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으로 마음 치유하는 관객 많아”

“공연으로 마음 치유하는 관객 많아”

입력 2012-10-19 00:00
업데이트 2012-10-19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년만에 내한 ‘오페라… ’ 팬텀역 리틀

“공연을 본 뒤 삶이 많이 바뀌었다는 ‘팬레터’를 꽤 받았습니다. 사람들은 수치심 같은 상처에 자신을 가둬놓고 살다가 공연 속 ‘팬텀’의 모습을 보며 ‘나도 이겨낼 수 있지 않을까’하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단순한 공연 이상의 치유인 셈이죠.”

그의 첫 마디는 “돌아왔어요.”(I’m back)였다. 올해로 25주년을 맞는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의 원조 팬텀, 브래드 리틀(48)은 상기된 표정으로 인터뷰에 응했다. 팬텀 역을 2000회 이상 연기한 단 4명의 배우 중 한 사람으로, 2005년 ‘오페라의 유령’ 서울 공연 뒤 7년 만의 내한이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1억 3000만명이 오페라의 유령을 관람했다.

18일 서울 장충동 그랜드 앰배서더호텔에서 만난 리틀은 인터뷰에서 “7년 전 내가 어떻게 연기했는지 잘 기억나진 않지만 캐릭터 안에 7년의 삶도 자연스럽게 녹아들었을 것”이라며 “7년 전과는 달라진 팬텀을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관객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털어놨다. “스스로 즐기자고 오른 무대지만 한국에서 공연하면 오히려 배우고 가는 게 많다.”면서 “(기립 박수를 치는 관객을 보면) 다른 나라보다 조금 더 친절하면서도 격정적이고 존중해주는 느낌”이라고 강조했다. 또 “싸이의 뮤직비디오를 봤는데 팬이라 율동을 잘 알지만 이번 공연에선 그 춤을 응용해 연기하진 않을 것”이라며 미소지었다.

앞으로 4개월간 한국에 머물며 공연할 예정인 리틀은 “아예 한국으로 이주할까 하는 생각도 했다.”면서 “미국 차기 대통령이 누구냐에 따라 한국에 올 수도 있다.”는 농담을 던졌다.

그는 ‘오페라의 유령’의 장수 비결에 대해선 훌륭한 음악과 스토리, 화려한 무대 연출 외에 감정이입을 가능케하는 ‘감정선’을 꼽았다. 이런 그에게도 2000년 공연 당시 착용한 빨간 망토가 계단에 끼어 무대에서 구르는 아찔한 실수담이 있었다. 가사를 잊어버려 ‘라~라~라’로 한 곡을 부른 적도 있다고 한다.

리틀은 경쟁이 과열된 한국 뮤지컬 시장에 대해선 “일부 프로듀서가 단기간 많은 돈을 벌려고 뮤지컬을 이용한다면 작품성과 관객의 흥미를 동시에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에 첫 방한한 ‘크리스틴’ 역의 클레어 라이언과 ‘라울’ 역의 앤서니 다우닝은 “한국에 와서 매우 즐겁다.”면서 “전통 갈비와 김치를 직접 먹어보고 싶다.”고 말했다. 세 배우는 올 12월 7일 개막을 앞두고 당분간 연습에 몰두할 예정이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10-19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