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음악계 차르 게르기예프, 마린스키극장 오케스트라와 내한

러시아 음악계 차르 게르기예프, 마린스키극장 오케스트라와 내한

입력 2012-10-29 00:00
업데이트 2012-10-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 손열음·조성진과 예술의 전당서 협연

지난해 7월 차이콥스키 국제콩쿠르 피아노 부문에서 손열음(26)과 조성진(18)이 나란히 2, 3위에 올랐다. 콩쿠르의 권위를 생각하면 둘은 피아니스트의 커리어에 날개를 단 셈이다. 당시 조직위원장은 ‘러시아 음악계의 차르(황제)’ 발레리 게르기예프(59)다.
이미지 확대
발레리 게르기예프
발레리 게르기예프


퀸엘리자베스(벨기에)·쇼팽(폴란드) 콩쿠르와 더불어 3대 콩쿠르로 군림하던 차이콥스키 콩쿠르의 권위에 균열이 생긴 건 2000년대 들어서다. 일본기업들이 스폰서로 붙으면서 일본 참가자에 대한 특혜 논란이 일었다. 지난해 조직위원장을 맡은 게르기예프는 심사위원단을 대폭 갈아치우고 진행 방식을 바꾸면서 공정성 논란을 일축했다. 러시아에서 남다른 인연을 맺은 게르기예프와 손열음, 조성진이 한국 무대에서 만난다.

게르기예프의 마린스키극장 오케스트라가 새달 6, 7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에서 내한 공연을 한다. 한국의 두 피아니스트가 협연자로 나섰다. 게르기예프가 두 피아니스트에게 분신과도 같은 마린스키극장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을 적극 요청했다는 게 주최 측의 설명이다. 손열음은 6일 쇼스타코비치 피아노협주곡 1번을 협연하고 조성진이 이튿날 프로코피예프 피아노협주곡 1번을 들려준다.

200여년 전통의 유서 깊지만 낡은 오케스트라는 1988년 수석지휘자(1996년 예술감독 취임) 자리에 게르기예프를 올려놓은 뒤 비로소 최고 수준의 연주단체로 거듭났다. 영국 클래식 전문지 그라모폰이 2008년에 발표한 오케스트라 순위에선 러시아 교향악단 중 가장 높은 14위에 올랐다. 6일에는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1번과 차이콥스키 교향곡 5번을, 7일에는 브람스 교향곡 2번과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5번을 들려준다. 7만~27만원. (02)541-3183.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2-10-29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