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은, 빛을 기다린다

어둠은, 빛을 기다린다

입력 2012-11-24 00:00
업데이트 2012-11-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伊 사진작가 자코멜리 회고전 ‘더 블랙 이즈 웨이팅 포 더 화이트’ 한국서 첫선

이탈리아 사진작가 마리오 자코멜리(1925~2000)의 회고전이 처음으로 한국을 찾았다. 24일 개막해 내년 2월 24일까지 서울 방이동 한미사진미술관에서 열리는 ‘더 블랙 이즈 웨이팅 포 더 화이트’(The Black Is Waiting For The White)다.

이미지 확대
‘스카노’ 시리즈
‘스카노’ 시리즈
자코멜리는 이탈리아 북부 작은 마을 세니갈리아에서 태어났고,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는 바람에 13살 때부터 인쇄소에서 식자공으로 일해야만 했다. 그래서 당연히 사진작가로서 어떤 교육을 받거나 기존 작가들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도 없다. 다만 나중에 자신의 작품 제목을 시인의 시구에서 따올 정도로 시를 무척이나 좋아했고, 인쇄소에서 오래 일하다 보니 흑과 백의 조합과 타이포그래피에 많은 관심을 보였을 뿐이다.

사진작업 역시 28살 때 크리스마스 선물로 사진기를 받아서 시작한 것일 뿐이다. 나중에 사진작업을 크게 인정받아 뉴욕현대미술관이 그의 작품 가운데 스카노(Scanno) 시리즈를 모두 사들여 보관할 정도로 주목받는 사진작가가 되었음에도 그는 여전히 인쇄소를 운영하면서 고향 마을에 살았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송수정 큐레이터는 “절대적으로 혼자 연구하고 혼자 찍은 작가이기 때문에 그의 작품을 두고 기존의 사진사 흐름에다 연결시켜 설명한다는 것이 어렵다.”면서 “그래서 아주 독특한 작업을 내놨지만, 또 그렇기 때문에 명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에는 뒤늦게 소개된 작가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죽음이 찾아와 너의 눈을 앗아가리라’
‘죽음이 찾아와 너의 눈을 앗아가리라’
실제 작품을 보면 전시 제목이 왜 그렇게 붙었는지 이해된다. 오직 검은색과 흰색뿐이다. 중간 톤의 회색 빛은 거의 없다. 찍는 대상도 그렇다. 스카노 시리즈는 흰 대리석 건물이 즐비한 가운데 검은색 전통 의상만을 고집하는 스카노 마을을 찍은 사진들이다. 작가로 이름을 날리면서 문화계 인사들과 교류가 늘고 그 덕분에 작품활동을 허가받은 수도원에서 찍은 자신도 하얀 눈밭과 검은 사제복이 대비를 이룬다. 후반기에 작업했던 풍경 시리즈나 노바디(Nobody) 시리즈 역시 매한가지다. 인위적으로 하기도 했다. 현상 과정에 개입해 흑백의 조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배경을 지우거나 인물을 재배치하기도 했다.

생전 작가의 전시와 출판을 도왔던 알렉산드라 마우로 이탈리아 포르마 미술관장은 전시 제목을 숨지기 얼마 전 진행했던 인터뷰에서 들었던 작가의 말에서 따왔다고 했다. 마우로 관장은 “아버지가 일찍 죽었던 경험 때문에 작품은 굉장히 종교적이고 무거운 분위기인데 실제 만난 작가는 굉장히 밝은, 전형적인 이탈리아 남자였다.”면서 “작품 얘기를 하다가 ‘흑이 백을 만나 사진이 된다’는 취지의 말을 했는데, 그게 아마 작가의 모든 것을 드러내 주는 말이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작품들이 어둡다고 하지만, 묘한 희열이 느껴지는 이유다. 전시작은 모두 220여점. 입장료 6000원. (02)418-1315.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11-24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