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 윤택씨의 ‘희망 도서관’

시각장애인 윤택씨의 ‘희망 도서관’

입력 2012-12-25 00:00
업데이트 2012-12-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BS 25일밤 ‘희망풍경’

자신은 빛을 보지 못하지만 누구보다 환하게 세상을 밝히는 한 남자가 있다. 1984년 전북 김제시 성덕면 남포리의 마을에 작은 도서관을 세운 시각장애인 오윤택(52)씨다. 그는 시골 마을의 사람들이 좀 더 쉽게 책을 접할 수 있도록 이동식 버스 도서관도 운영한다. 시각장애인으로 태어나서 책 한 권 읽지 못한 그가 ‘희망남포 작은 도서관’ 관장으로 책과 인연을 맺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25일 방영되는 EBS ‘희망풍경’에서는 천하무적 오 관장의 24시를 들여다본다.

‘희망남포 작은 도서관’ 관장으로 세상을 환하게 밝히는 시각장애인 오윤택씨. EBS 제공
‘희망남포 작은 도서관’ 관장으로 세상을 환하게 밝히는 시각장애인 오윤택씨.
EBS 제공
시각장애 1급의 오윤택 씨는 앞이 보이지 않아도 못 하는 것이 없다. 도서관 일뿐 아니라 지역민의 발전을 위한 소득사업, 각종 봉사활동까지 마을 일에 그의 손이 미치지 않은 것이 거의 없을 정도로 종횡무진으로 활약하고 있다.

29년째 한 장소에서 묵묵히 도서관을 운영하는 그는 장애 때문에 태어나서 책 한 권 읽어보지 못했다. 하지만 누구보다 많은 사람에게 좋은 책을 읽을 기회를 선물하고 있다. 어린 시절 장애와 가난으로 배우지 못한 그의 마음 한편에 제대로 배우지 못한 아쉬움이 늘 도사리고 있다고 했다. 그런 그가 공부에 대한 열망으로 1984년 설립한 것이 바로 남포문고. 이것이 바로 희망남포 작은 도서관의 전신이다.

오 관장은 매주 수요일과 목요일 이틀간 하루 일곱 군데를 돌아다니며 버스도서관을 운영한다. 앞이 보이지 않은 그를 대신해 후배가 버스를 운전하는데, 버스 내에는 3000권의 책이 소장되어 있다. 도서관장으로, 버스도서관 주인장으로, 마을일꾼으로 봉사하는 그의 삶은 언제나 분주하다. 하지만 오 관장은 “베풀면 언젠가는 나에게 돌아오더라.”고 담담하게 말한다.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산타클로스로 분한 행복한 그의 얼굴에서 시각장애의 그늘이란 찾아볼 수가 없다. 눈이 내려 사방이 하얗게 꽁꽁 언 날씨지만, 오 관장의 버스도서관은 쉬지 않고 힘차게 달린다. 보이지 않음에도 세상을 환하게 밝히는 천하무적 오 관장의 희망버스를 희망풍경 카메라가 쫓아간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2-12-25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