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날레용과 아트페어용으로 갈라져 있는 우리 미술 안타까워”

“비엔날레용과 아트페어용으로 갈라져 있는 우리 미술 안타까워”

입력 2013-09-18 00:00
업데이트 2013-09-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3 올해의 작가상’ 받은 공성훈 성균관대 미술학과 교수

“우리 미술은 비엔날레용과 아트페어용으로 갈라져 있습니다. 미술관 중심의 실험적인 그림과 상업성 강한 예쁜 그림으로 나뉘어 가는 추세죠. 정상적인 미술 생태계라면 두 분야가 어느 정도 겹쳐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요.”

이미지 확대
국립현대미술관의 ‘2013 올해의 작가’에 선정된 공성훈 성균관대 미대 교수. “한국 미술은 비엔날레용과 아트페어용으로 나뉘어 있다”며 미술계 풍토에 날 선 비판을 쏟아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2013 올해의 작가’에 선정된 공성훈 성균관대 미대 교수. “한국 미술은 비엔날레용과 아트페어용으로 나뉘어 있다”며 미술계 풍토에 날 선 비판을 쏟아냈다.
공성훈(48) 성균관대 미술학과 교수는 깊은 한숨부터 내쉬었다. “현대 미술을 난도질할 이유는 없다”면서도 “안타깝다”고 넋두리를 쏟아냈다.

공 교수는 대형 풍경화로 미술계에 늘 불편함을 자아내는 화가다. 새벽인지 밤인지 도저히 분간이 안 가는 절경 속에서 담배 피우는 남자의 음험한 뒷모습이나 폭풍전야처럼 을씨년스러운 바다, 관람객을 위압하는 청회색 절벽 등 자연을 주로 화폭에 담는다. 그 안에는 불안한 현실이 똬리를 틀고 있다. 그림 구석에 은근슬쩍 등장하는 촛불은 금세 꺼질 듯하고, 돌탑은 무너질 것 같으며, 돌 던지는 아이는 폭포에 빠질 것처럼 위태롭다. 범상찮은 사건이 일어나기 직전이나 직후의 영화 속 한 장면을 떠올리게 한다. 작가는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달라진 우리 삶을 자연의 힘에 비유했다. 예전에는 열심히 일하면 잘될 수 있을 것이란 희망이 있었는데 요즘에는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국립현대미술관의 ‘2013 올해의 작가’에 선정됐다. 미술계에선 의외라는 반응이 봇물을 이뤘다. “더 이상 새로울 것 없다”던, 그래서 허울뿐인 미술계의 간판 장르인 회화에서 엘리트주의와 상업주의의 어느 한 축에도 끼지 못하던 작가가 상을 받았기 때문이다. 심사위원단은 “회화의 혁신이란 쉽지 않은 과제에 도전해 일군 성취가 뛰어나다”고 평했고, 작가는 “고교 졸업 후 30년 만에 처음 받는 상”이라고 화답했다.

수상하고 불온한 붓질로 ‘피로사회’, ‘위험사회’를 그려온 작가는 기성 화단의 국전이나 공모전 등에 단 한 차례도 응모한 적이 없었다. “이번에도 국립현대미술관의 학예사로부터 ‘최종 수상자 후보 4명에 포함됐으니 포트폴리오(작품집)를 보내 달라’는 전화를 받고 들러리 서기 싫어 응하지 않으려 했어요.”

그런 그에게 올해의 작가상 수상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개인적으로 회화를 하면서 회의가 많았는데 작업 방향이 틀린 건 아니었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는 답이 돌아왔다. 중학교 1학년 미술반 이후 줄곧 그림을 그려온 작가는 서울대 미대 서양화과를 졸업한 뒤 대학에서 다시 전자공학을 공부한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다. 한때 설치미술에 푹 빠져 ‘미술품 자판기’, ‘진공청소기에서 뽑은 먼지를 캔버스에 붙여 만든 그림’ 등 갖가지 실험에 매달렸다.

회화에 다시 눈을 뜬 계기는 1990년대 말 우연찮게 찾아왔다. 서울 갈현동에서 경기 고양시 벽제로 거주지를 옮긴 작가의 눈에 동네 보신탕 집에서 키우던 개들의 서글픈 눈빛이 문득 들어왔다. “매체를 활용하기보다 직접 몸을 굴려 그림을 그리는 게 개들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했다”는 작가는 이때부터 회화에 몰두한다. 자연, 동물 등 남루한 일상을 하나씩 화폭에 담아갔다. 얼핏 목가적 장면을 그리는 듯했지만 그 안에는 진실을 보려는 몸부림이 스며 있었다.

그에게는 꿈이 있다. 대부분의 작가들이 ‘깡’ 하나로 버텨야 하는 열악한 미술계의 현실이 나아지고, 현대미술이 제대로 뿌리를 내리는 일이다. “학생들에게 6·25전쟁을 직접 다룬 그림을 본 적 있느냐고 물으면 ‘없다’고 말합니다. 이게 우리 미술의 현주소입니다. 사람들이 렘브란트나 고흐를 좋아한다고 떠드는데, 우리 사회에서 미술이 신화나 전설과 다름없다는 증거입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9-18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