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브러더를 고발합니다

빅브러더를 고발합니다

입력 2014-03-04 00:00
업데이트 2014-03-04 0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7회 무브 온 아시아:검열’전

프랑스 철학자이자 판사, 작가인 에마뉘엘 피에라의 ‘검열에 관한 검은책’(2012년)은 실재하지만 쉽사리 흔적을 찾을 수 없는 ‘빅브러더’의 모습을 뒤쫓는다. 누군가는 분명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지만, 그 형식이나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현실을 다룬다. 나아가 피에라는 검열의 민영화 등 진화한 다양한 종류의 검열을 언급한다. 무력이 아닌 돈의 힘으로 작가의 자기검열을 조장하는 사회현실을 꿰뚫어 본 것이다.

이미지 확대
다음 달 21일까지 서울 마포구 서교동의 대안공간 루프에서 이어지는 ‘제7회 무브 온 아시아: 검열’전은 이 같은 현실을 그대로 옮겨 왔다.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인도 등 사적 표현에 그리 자유롭지 못한 아시아 12개국에서 날아온 21명의 작가들이 20여편의 영상작업을 통해 이를 함께 고민한다. 공권력뿐 아니라 종교집단, 사회운동단체 등이 강요하는 다양한 형태의 검열들이 대상이다. 경제적 압박에 흔들리는 작가들의 자아 검열도 예외는 아니다. “폭증하는 정보의 흐름 속에서 금권에 휘둘리는 처지가 애처롭다”던 박노해 시인의 세태 비판과 별반 다르지 않다.

인도 출신의 작가는 사회를 좌우하는 거대한 힘을 지닌 종교와 그 속에서 검열을 두려워하는 미약한 작가 자신을 다룬다. 일본 출신의 작가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라는 대재앙 이후 흔들리는 표현의 자유를 언급한다. 나아가 적지 않은 작가들이 스스로 알게 모르게 검열에 참여하고 있다는 개인적 두려움을 토로한다. 황대원 큐레이터는 “인종 차별, 아동 포르노, 전쟁과 불평등이 있는 세계에서 무한한 표현의 자유라는 것은 추상적 단어에 불과하다”면서 “그래서 작가들은 검열을 악으로 규정하기보다 끝없는 의문만을 던진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시는 아시아가 공유할 수 있는 담론을 모색하는 자리로, 11개국 15명의 큐레이터가 추천한 영상작품들을 모았다. 올해로 7회째인 ‘무브 온 아시아’전은 아시아 각국의 미술사조를 효과적으로 드러내 서로를 비교해 볼 수 있는 귀중한 기회이기도 하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3-04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