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하고 싶은 선생님들, 직접 만들고 무대 선다

연극하고 싶은 선생님들, 직접 만들고 무대 선다

입력 2014-06-20 00:00
업데이트 2014-06-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견연극인 중심 극단 ‘중창단’ 21일 연극 ‘현자 나탄’ 무대 올려

“우리 같은 보통 사람들은 나무 가운데 있는 무성한 가지들입니다. 서로 헐뜯거나 상처를 주며 살아서는 안 되죠. 부대끼다 보면 결국 꺾이고 말 테니까요.”

이미지 확대
서울 종로구 명륜동 은세계 연습실에서 중견 연극인 창작집단의 창단 작품 ‘현자 나탄’ 연습이 한창이다. 주인공 나탄 역의 배우 정재진(왼쪽)이 딸 레하 역의 이수정(오른쪽), 레하의 말동무 다야 역의 윤예인(가운데)과 열연하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서울 종로구 명륜동 은세계 연습실에서 중견 연극인 창작집단의 창단 작품 ‘현자 나탄’ 연습이 한창이다. 주인공 나탄 역의 배우 정재진(왼쪽)이 딸 레하 역의 이수정(오른쪽), 레하의 말동무 다야 역의 윤예인(가운데)과 열연하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우린 둘 다 민족을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민족이 뭔데, 내가 우리 민족입니까? 유대인이나 기독교인이기 전에 먼저 ‘인간’이 아닌가요? 제가 기사님에게서 인간을 발견했다면 그걸로 충분하지 않습니까.”

연극배우 정재진(61)이 미소 띤 얼굴로 잠언을 쏟아낸다. 십자군전쟁이 한창인 1192년 유대인 나탄이 그를 경멸하는 십자군 기사에게 인간은 모두 같은 존재라는 것을 설파하는 장면이다. 묵직한 메시지가 퍼지는 순간 배우들의 표정에 진지함이 감돈다.

지난 18일 서울 종로구 명륜동 한편에 있는 은세계 연습실. 21일 개막하는 연극 ‘현자 나탄’이 무르익고 있다. 경력 40년을 훌쩍 넘긴 원로부터 신예까지, 이곳에 모인 배우는 10명뿐이지만 경력을 합치면 300년에 육박한다. 중심에는 중견연극인창작집단(중창단)이 있다. 전 국립극단 단장이었던 배우 정상철(66)과 김지숙(58)을 주축으로 김석만(세종문화회관 이사장)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 김재건(67), 이문수(65), 정재진 등 내로라하는 연극인들이 뭉쳤다. 무대에서는 ‘선생님’ 소리를 들으며 대접받을 이들이 공연에 몰두하는 건 아이러니하게도 “연극을 하고 싶어서”다.

정재진은 “항상 무대를 동경하고 있는데 기회가 없으니, 우리가 직접 만들고 관객에게 보여 주자는 생각을 했다”고 털어놨다. “대학로는 연출과 관객, 작품 모두 젊어져 나이 든 배우들이 나올 작품이 거의 없어요. 연극배우를 직업으로 갖고 살려면 한 해 서너 개의 공연은 해야 하는데, 반대로 2~3년에 겨우 한 편 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돈의 논리에 얽매이지 않고 연극의 의미를 살리는 무대도 필요했다. 대학로에 매일 오르는 수십 개 작품은 대부분 코미디나 로맨스물이다. 1990년대부터 대학로에 스민 상업 마인드가 점차 세를 키우면서 웃고 즐길 수 있는 것들이 ‘상품가치’로 인정받게 됐다. ‘연극은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라는 것을 철학으로 삼던 중창단은 “시장과 자본에 휘둘리지 않고 작품을 선보여야 한다”는 생각에서 ‘현자 나탄’을 선택했다. 독일의 계몽주의 작가인 고트홀트 레싱(1729~1781)이 말년에 쓴 작품으로 종교비판적 글을 출판해 개신교와의 신앙 논쟁을 겪은 그는 이 작품으로 자유로운 신념을 풀어내고자 했다.

연출을 한 김석만 교수는 “이슬람교의 자비와 관용, 유대교의 지혜, 가톨릭의 사랑이 균형 있게 녹아 있다”면서 “보편적인 시대정신을 가진 작품이라고 생각했는데 요즘 들어 이 작품이 더더욱 큰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와 지방선거, 역사·종교관의 대립 등을 겪는 한국을 투영하고 성찰할 수 있을 것이라는 뜻이다. 공연은 7월 2일까지 서울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에서 공연한다. 2만~5만원. (02)3676-3676.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2014-06-20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