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장 관객 절반은 ‘혼공족’

공연장 관객 절반은 ‘혼공족’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5-21 10:49
업데이트 2019-05-21 1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터파크 데이터 조사...2인 관객 추월해 지난해 46%로 나타나

연도별1인관객추이
연도별1인관객추이
혼자서 공연을 즐기는 1인 관객, ‘혼공족’의 비율이 지난해 절반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 확대 등에 따라 ‘혼공족’의 비율은 2인 관객을 추월하는 등 가파르게 상승했다.

21일 공연예매 사이트 인터파크가 2005~2018년 예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5년 11%였던 1인 관객 비중은 꾸준히 늘어나 2017년 49%, 2018년 46%로 각각 나타났다. 혼공족이 늘어남에 따라 2인 관객은 감소세를 보였다. 2005년 69%로, 공연장 관객 상당수가 2인 관객이었지만, 2015년 44%로 1인 관객 비중과 역전된 뒤 지난해에는 40%를 차지했다.

장르별로는 콘서트가 1인 관객 예매 비중이 가장 높았다. 콘서트 예매자 가운데 ‘혼공족’은 2017년 65%, 2018년 58%로 각각 나타났다. 아이돌 가수에 대한 팬덤과 아이디당 티켓 매수를 1매로 제한하는 제도적 장치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이밖에 지난해 기준으로 클래식·오페라의 1인 관객 예매 비중이 43%, 연극 41%, 뮤지컬 39%, 무용·전통예술 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연령별로는 20대 여성이 31.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다음으로 30대 여성(18.6%), 10대 여성(11.5%) 등 순이었다.

지난해 혼공족 비중이 높았던 대극장 뮤지컬은 ‘웃는 남자’(45%), ‘지킬앤하이드’(44%), ‘프랑켄슈타인’(43%) 등으로 박효신, 조승우 등 확고한 팬덤을 가진 배우가 출연한 작품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중소극장 뮤지컬로는 ‘배니싱’(86%), ‘랭보’(83%) 등에서 1인 관객 비중이 높았다.

인터파크 공연사업부 백새미 부장은 “앞으로도 혼공족은 시장을 주도하는 관객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무대와 음악에만 몰입해서 즐기기 좋은 공연은 다른 어떤 취미 활동보다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혼자서 즐기기 좋은 분야”라고 설명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