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어해도’ 속 살풍경과 낙원의 간극…강렬한 회화로 세태 찌르다

‘현대의 어해도’ 속 살풍경과 낙원의 간극…강렬한 회화로 세태 찌르다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4-01-29 13:30
업데이트 2024-01-29 1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리만머핀 첫 한국 작가전 ‘원더랜드’
혐오범죄, LA 폭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
자수, 전통안료 활용 강렬한 회화로 구현
켄건민,임미애,유귀미 작품 국내 첫선

이미지 확대
서울 한남동 리만머핀 서울이 한국·한국계 작가 4인전 ‘원더랜드’에서 소개하는 켄건민 작가의 ‘1992 웨스턴 애비뉴’(2023) 리만머핀 서울 제공
서울 한남동 리만머핀 서울이 한국·한국계 작가 4인전 ‘원더랜드’에서 소개하는 켄건민 작가의 ‘1992 웨스턴 애비뉴’(2023)
리만머핀 서울 제공
실감나는 필치로 그려진 문어, 게, 물고기 등이 어우러진 풍경이 마치 옛 어해도(魚蟹圖·중국 송대에 기원해 고려 왕실로 전해진 물속 생물을 그린 그림)를 연상시킨다. 하지만 이 ‘현대의 어해도’는 말그대로 ‘살풍경’이다.

살점을 물어뜯겨 피가 튀고 내장이 다 돌출된 물고기들의 잔혹한 현실은 우리 사는 세상에 대한 은유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무섭게 번진 유색인종에 대한 혐오범죄나 1992년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한인 피해가 극심했던 ‘LA 폭동’을 화폭에 담은 것. 하지만 서양 재단화 형식으로 그려진 이 잔혹한 풍경 상단에는 기독교적 낙원의 풍경이 우뚝 서 있다. 전혀 이질적인 세계를 한 화폭에 담은 이유가 있다. LA 폭동 당시 백인 중산층 지역은 보호해준 경찰이 코리아 타운은 보호막 아래 배제하며 한인 이민자들이 폭력에 무방비로 당하게 했다는 작가의 비판적 시각을 녹인 것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 한남동 리만머핀 서울에서 열리는 한국·한국계 작가 4인전 ‘원더랜드’ 를 찾은 한 관람객이 작품을 감상하고 있다.  리만머핀 서울 제공
서울 한남동 리만머핀 서울에서 열리는 한국·한국계 작가 4인전 ‘원더랜드’ 를 찾은 한 관람객이 작품을 감상하고 있다.
리만머핀 서울 제공
홍익대 예술학과를 졸업한 뒤 LA에서 이민자로 살며 영화 ‘스타워즈’ 제작사에서 10년간 일한 이력을 지닌 켄건민(48) 작가의 신작 ‘1992 웨스턴 애비뉴’ 이야기다. 그의 또 다른 신작 ‘2022-1988’은 ‘88올림픽’ 때 1년간 올림픽 행사에 동원되며 아동권과 교육권을 뺏긴 유년 시절의 아픈 기억을 꺼내는 동시에 2년 전 LA 주택가를 배회하다 죽은 마운틴라이언과 현대 사회와의 공존을 성찰한다.

켄건민은 이처럼 동시대 현실에 대한 뼈아픈 성찰, 이상 세계와의 간극을 자수나 한국 전통 안료 등을 활용해 환상적이고 강렬한 이미지로 펼쳐낸다. 동양의 자수·비즈 공예와 안료가 서양 회화와 이질적 경계 없이 어우러져 흥미롭다.
이미지 확대
켄건민 작가의 ‘2022-1988’(2023)
켄건민 작가의 ‘2022-1988’(2023)
이는 미국 뉴욕에서 출발한 세계 정상급 갤러리 리만머핀이 2017년 한국 진출 이후 처음 소속 작가가 아닌 한국·한국계 작가 4인 전시로 꾸린 ‘원더랜드’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이다. 임미애(61), 유귀미(39), 현남(34) 등 1960~1990년대생으로 연령대도, 사는 곳도 다른 4인의 한국·한국계 작가들은 고유한 화법으로 동시대 풍경과 현실에서 꿈꾸는 또 다른 이상세계를 펼쳐보인다. 현남을 제외한 세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국내에서 처음 작품을 선보이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 한남동 리만머핀 서울에서 열리는 ‘원더랜드’ 전시 전경. 유귀미 작가의 ‘그린 레이크’(2023)와 ‘나잇 리버’(2023), 현남 작가의 조각 ‘아이렘’이 전시돼 있다. 리만머핀 서울 제공
서울 한남동 리만머핀 서울에서 열리는 ‘원더랜드’ 전시 전경. 유귀미 작가의 ‘그린 레이크’(2023)와 ‘나잇 리버’(2023), 현남 작가의 조각 ‘아이렘’이 전시돼 있다.
리만머핀 서울 제공
서울대 동양화과를 나와 런던에서 유학하고 미국에 거주했던 유 작가는 이민자로 고립을 겪었던 기억 속 일상의 공간을 몽환적인 풍경으로 직조하며 자신만의 풍경을 관람객 모두에게 친숙한 풍경으로 인도한다. 유화이지만 동양화의 번짐 효과를 이용해 아련한 그리움을 자아내는 노스탤지어를 화폭에 구현했다.

10대 때 하와이로 이주해 미국 안에서 거처를 옮겨다닌 임 작가는 유년의 기억과 환상을 중층적이고 파편화된 형상으로 그려내 달콤한 기억과 두려운 감정 사이 긴장감과 상상력을 불러일으킨다. 2월 24일까지.
이미지 확대
임미애 작가의 2023년 신작 ‘몰로토프(Molotov)’. 리만머핀 서울 제공
임미애 작가의 2023년 신작 ‘몰로토프(Molotov)’.
리만머핀 서울 제공


정서린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