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에서 삶을 배우다

흙에서 삶을 배우다

입력 2010-02-06 00:00
업데이트 2010-02-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구병 에세이 3권 동시출간

충북대 철학과 교수로 있던 1995년, 윤구병 교수는 돌연 교수 자리를 내놓는다. 보리출판사,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등 활발한 대외활동을 하던, 또 보장된 정년도 15년이 더 남아 있던 시점이었다. 그리고 그는 훌쩍 전북 부안군 변산으로 떠나 ‘변산 공동체’라는 대안 공동체를 마련한다. ‘스스로 제 앞가림을 하고 이웃과 함께할 힘을 기르는 법’을 배우겠다는 의도였다.

‘농부가 된 철학자’ 윤구병 선생의 에세이 3권이 나란히 출간됐다.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그가 쓴 글을 각각 공동체·생태·교육이란 주제로 나눠 ‘흙을 밟으며 살다’, ‘자연의 밥상에 둘러앉다’, ‘꿈이 있는 공동체 학교’(휴머니스트 펴냄)로 묶었다. 3권의 책에는 오래돼 사라졌지만 지금 우리에게 절실히 필요한 가치들, 또 그가 원했던 스스로 앞가림하고 이웃과 함께하는 법이 담겨 있다.

이미지 확대
철학자 농부 윤구병이 자아내는 그을린 얼굴 위 주름진 웃음은 인류 삶의 또 다른 미래다. 휴머니스트 제공
철학자 농부 윤구병이 자아내는 그을린 얼굴 위 주름진 웃음은 인류 삶의 또 다른 미래다.
휴머니스트 제공
그가 몸담고 있는 변산 공동체는 20여가구 50여명이 느슨한 지역 공동체의 틀을 지키고 살고 있는 공간이다. 함께 논과 밭을 일구고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며 자급자족의 삶을 추구하고 있다. 윤구병 선생은 이곳의 창안자이자 지도자로서 구성원들과 함께 땀을 흘리고 있다.

철학자 출신답게 에세이 곳곳에는 각 주제에 대한 깊은 사유가 드러난다. 하지만 그는 생각만으로 끝내지 않는다. 안정된 교수직을 박차고 나온 만큼 그의 모든 생각 끝에는 실천과 현장으로의 무게가 실린다. 그만큼 에세이에도 현장감이 넘친다.

‘흙을 밟으며 살다’는 변산 공동체 생활을 중심으로 나눔, 공동체, 공존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간다. 그의 고민은 가난이 가지고 있는 가치에서부터 부부, 이웃이라는 관계의 문제, 사람의 소유욕 등 여러 갈래로 뻗쳐 나간다. 이를 바탕으로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의 모습, 또 ‘있을 것은 있고 없을 것은 없는 세상’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고민한다.

또 ‘자연의 밥상에 둘러앉다’에서는 생태에 대한 사유를 전한다. 고대그리스철학 및 자연철학을 전공했던 그는 ‘교섭’ 또는 ‘만남’이란 주제로 인간과 생명의 관계를 짚어낸다. 이어 ‘꿈이 있는 공동체 학교’에서는 ‘무엇을 할 줄 아는 아이를 기르는 것’이 교육의 본질임을 주장하고, 학대 수준으로 떨어진 현대 교육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2-06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