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 망국의 학문이라고?

성리학, 망국의 학문이라고?

입력 2010-02-13 00:00
업데이트 2010-0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조선의 힘-조선, 500년 문명의… 】오항녕 지음/역사비평사 펴냄

성리학은 조선의 건국이념이자 왕조 500년을 이끌어온 통치원리였다. 그렇지만 근대화와 일제강점기를 지나며 성리학은 조선 망국의 제일원인으로 꼽혔다.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는 레토릭은 최근까지 유행했다. 많은 이들이 성리학은 공리공론만 일삼고 현실 문제를 도외시했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 평가에 대해 ‘조선의 힘-조선, 500년 문명의 역동성을 찾다’(오항녕 지음, 역사비평사 펴냄)는 “무지와 왜곡이 빚은 오해”라고 지적한다. 그러면서 “조선 500년의 힘과 한계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자.”며 그 평가대 위에 성리학과 성리학이 빚어낸 조선의 제도들을 올려놓는다.

글쓴이는 성리학이 ‘중용(中庸)’과 ‘백성(民)’을 키워드로 하는 지극히 일상적인 학문이었다고 한다. 결코 탁상공론만을 외친 비실용적이고 형이상학적인 학문이 아니라, 국가 운영과 백성의 생활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 있는 정치원리이자 윤리체계라는 것이다.

그는 성리학의 이러한 정신이 조선의 갖가지 ‘제도’로 실현되면서, 단일 왕조로서 결코 짧지 않은 500년 역사를 이끌어 왔다고 본다. 그러면서 역사 속에 실현돼 조선의 저력이 된 구체적인 제도로 문치(文治)주의, 왕조실록, 삼강오륜으로 통하는 강상(綱常), 대동법 등을 제시한다. 먼저 문치주의는 조선이 무력과 폭압이 아닌 문명적 방법으로 왕조를 유지하려 했던 의지라고 글쓴이는 설명한다. 이 중심에는 신하의 지위로 왕의 교육을 담당했던 경연관(經筵官), 정치적 비평과 탄핵을 맡은 언관(言官), 역사 기록을 맡은 사관(史官)이 있었다. 이러한 제도는 왕의 권력을 문화적으로 견제하며, 그 균형 속에서 조선이 유지되도록 만들었다. 왕조실록 역시 조선의 거대한 힘이었다. 역사 정통성을 지키기 위해 이러한 기록 작업을 벌인 왕조는 인류 역사상 다른 예를 찾을 수 없다. 책은 왜 조선 왕조가 이 실록을 기록하고 펴내는 데 막대한 힘을 들였는지를 추적해 간다.

이와 함께 책은 오늘날 헌법에 해당하는 ‘경국대전’을 중심으로 정부를 조직하고 유교경전으로 공동체 생활 규범을 잡아 갔던 조선의 법치·예치 사회 시스템을 분석한다. 대동법처럼 민생 해결을 위해 실시된 제도도 소개한다. 1만 4500원.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2-13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