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술… 꿈… 말… 한 글자 시로 피어나다

해… 술… 꿈… 말… 한 글자 시로 피어나다

입력 2010-06-19 00:00
업데이트 2010-06-19 0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 성찬경 지음, 고요아침 펴냄

점점 산문화되고 난삽한 단어의 교직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현대시에서 시어(詩語) 하나의 무게는 갈수록 가벼워지고 있다. 시어는 더 이상 그 자체로 감동을 주지 못하고 문맥 속에서 하나의 부품으로 전락했다.

예술원 회원 성찬경 시인의 아홉 번째 시집 ‘해’(고요아침 펴냄)는 이런 경향에 경종을 울리는 기획이다. 여기서는 시어 하나의 무게가 엄청나다. ‘성찬경 일자시집’이라는 부제가 말하듯, 시 한 편이 그냥 한 음절짜리 시어 하나로만 돼 있기 때문이다.

시집을 펼치면 제목 자리에 ‘해’, ‘술’, ‘집’, ‘꿈’, ‘말’, ‘혀’ 등 단어만이 떡하니 쓰여 있다. 나머지는 그냥 백지다. 그걸 그냥 넘겨 버리면 그만이겠지만, 빈 공간을 훑으면서 곱씹다 보면 일상에서 쉽게 쓰던 이 단어가 새로운 무게를 갖고 다가온다. 시집은 그런 ‘낯설게 하기’ 효과를 노리는 셈이다.

시 한 편이 한 음절이다 보니 시의 의미를 읽어 내는 데는 음소 단위의 분석까지 필요하다. 시인은 작품에 따라 스스로 해설을 붙이기도 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시 ‘해’의 경우 ‘ㅎ’은 ‘하늘’, ‘holy’처럼 밝음과 높음, 신성함의 표상이라 했고, ‘ㅐ’는 ‘애비’, ‘애기’같은 친밀화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해’는 높고 신성하면서도 또 친근함을 드러내는 시어인 것이다.

이 일자시(一字詩)는 시인이 1963년쯤부터 연구하기 시작한 ‘밀핵시론(密核詩論)’에 근거한다. 이 시론은 글의 풍부한 무게와 의미를 위해 시어가 가진 의미 밀도와 탄력을 최대한으로 살리자는 것이다. 시집은 오랜 밀핵시론 탐구의 궁극적인 결과물이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6-19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