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 선구자였던 참보수주의자들

민족의 선구자였던 참보수주의자들

입력 2010-08-14 00:00
업데이트 2010-08-14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수주의자의 삶과 죽음】‘사람으로’ 함께 지음 동녘 펴냄

3·1절 아침, 서울시청 앞 광장에 모여 성조기와 태극기를 함께 흔드는 종교인들이 있다. 기초생활 수급자들에게 돌아가는 최소한의 복지비용마저 축소하려는 관료들이 있다. 식량난에 시달리는 동족에게 보내는 쌀과 비료 등 인도적 지원조차 가로막는 정치인들이 있다. 또한 정치 사상의 자유는 나와 생각이 같을 때만 허용되는 것이라 여기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 모두 공통점이 있다. 바로 ‘보수주의’ 이름 아래 스스로의 행위와 삶을 정당화하고 있는 것이다.

‘보수주의자의 삶과 죽음’(동녘 펴냄)은 뒤틀리고 왜곡된 보수주의자가 아닌 ‘참된 보수주의자’의 구체적인 삶을 보여준다.

장준하, 김병로, 이회영, 황현, 유형원, 최영 등 6명의 삶을 다뤘다. ‘사람으로 읽는 한국사기획위원회’에서 공동 집필했다.

장준하(1918~1975)는 청년 시절 광복군에 참여한 항일독립운동가였고,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에 맞서 싸웠던 반독재 민주화 운동가였다. 하지만 그에 앞서 그는 반공산주의자이며 기독교 민족주의자였다. ‘모든 통일은 선하다.’고 ‘씨알의 소리’에 선언할 정도로 사상과 이념보다 민족의 가치를 앞세웠다.

대한민국 초대 대법원장인 김병로(1887~1964)는 철저한 반공주의 신념을 갖고 있음에도 독립운동을 펼친 이라면 좌우를 가리지 않고 변호했는가 하면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뒤에는 국가보안법 폐지와 형법 대체를 주장하기도 했다. “정의를 위하다 굶어 죽으면 그것이 곧 영광”이라는 말을 직접 실천하며 청렴하고 강직한 삶을 살았다. 또한 현실 속에서 법 자체는 보수적일 수밖에 없지만 “국민은 악법의 폐지를 요구할 권리가 있다.”며 법의 정신을 일깨운 귀감의 삶이었다.

부패한 정치인들에게 엄격했던 고려시대 최영 장군은 물론 조정을 등지면서까지 개혁을 추구했던 조선시대 실학파의 비조 유형원, 조선의 경술국치 앞에서 식음을 전폐했던 구한말 황현, 번듯한 반가 출신임에도 왜적 치하에서 구차하게 생명을 도모할 수 없다며 항일 무장투쟁을 벌인 이회영 등은 진정한 보수의 삶이 서양식 ‘노블레스 오블리주’(사회 지도층의 도덕적 의무)와 다를 바 없음을 보여준다.

여섯 명의 역사 속 인물들은 ‘참된 보수’란 구태의연하게 시대의 정신에 뒤처지거나 안주하는 이들의 몫이 아님을 깨우쳐주고 있다. 1만 3000원.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8-14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