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마음·물의 관계 알고 도깨비 잡자

돈·마음·물의 관계 알고 도깨비 잡자

입력 2010-10-09 00:00
업데이트 2010-10-09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지하 시인 경제에세이집 ‘춤추는 도깨비’출간

‘경제 에세이’란다. 하지만 저명한 시인의 경제에 관한 수상록(隨想錄), 혹은 담론쯤으로 여기고 접근한다면 필패(必敗)하기 십상이다. 올해 고희를 맞은 김지하 시인이 경제를 주제로 쓴 에세이집 ‘춤추는 도깨비’(자음과모음 펴냄) 얘기다. 시인 특유의 사상과 철학으로 오늘날의 경제 문제를 짚고 그 해법을 제시한 책으로, 인터넷언론 프레시안에 연재했던 글들을 묶었다.

이미지 확대
김지하 시인 연합뉴스
김지하 시인
연합뉴스
책에서 도깨비는 경제를 뜻한다. 꾀 많고 심술궂은 반면 인간에게 도움을 주기도 하며 함께 삶을 계속해온 존재란 뜻에서다. 인간은 지금껏 도깨비를 조종할 수 없었다. 되레 도깨비 놀음에 휘둘리기 일쑤였다.

그러나 다른 어떤 시대보다 지금 도깨비에 대한 공부, 결국 ‘도깨비의 집’인 인간의 마음에 대한 공부가 필요한 때라는 게 저자의 판단이다.

저자는 “하나와 여럿 사이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돈과 마음 사이의 관계를 제대로 보지 못한 지난날의 모자람이 축적된 결과가 바로 지금 여기 우리가 겪고 있는 경제 위기요, 문화 위기요, 대혼돈이라는 이름의 세계 위기”라며 “각종 경제적 위기들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은 돈과 마음의 관계를 제대로 이해하고 해결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시인은 이 명제를 설명하기 위해 가까이는 불교 화엄사상과 동학사상, 멀리는 페르낭 브로델(프랑스) 등이 이끄는 아날 학파의 새로운 경제 조류까지 기꺼이 책 속으로 끌어들인다.

저자는 이 시대를 규정짓는 단어로 마음과 돈, 그리고 물을 꼽았다. 책의 부제가 ‘돈과 마음의 관계를 생각한다’인 것도 그런 까닭이다. 그리고 그 셋을 대표하는 것은 물이라 했다. 시인이 이 시대 경제 위기의 해법으로 내놓은 화두이기도 하다.

그는 이를 “새로운 경제 제도의 창조적 발전에 있어서 우리가 반드시 전제해야 될, 현대에 절대적으로 요청되는 경제 행위는 ‘마음과 돈’ 사이의 철저한 상관관계 위에서 성립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라며 “그때 그 상관을 밑에서 치명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삶, 생활, 생명, 우주생명을 결정하는 여러 형태의 물과 물의 성질”이라고 설명한다.

도대체 물이 과학적인 해답이 되겠나, 지나치게 관념적인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을 법하다. 저자는 이에 대해 미국의 언어철학자 마크 존슨의 말을 빌려 통박한다. “몸은 마음을 담고 있다. 그러나 그렇게 마음을 담고 있는 몸은 곧 제 바깥에 그만한 값, 즉 돈을 제 몸의 외연으로 달고 있다. 결국 오늘 모든 사람의 돈은 마음 안에 있고, 그 돈은 곧 마음 안에 있는 몸이다. 답이 나왔다. 물이다. 물 없이 몸은 살지 못한다. 예전 같으면 ‘글쎄요.’였겠지만, 이제 노벨 화학상을 받은 일리야 프리고진을 통해 물이 화학적 관념 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물에 대해 참으로 눈을 뜰 때가 가까워온 것이다.”

책은 2008년 동아시아 경제공동체포럼 기조강연문인 ‘하나가 여럿에게 가는 길’을 시작으로 ‘물’ ‘님’ ‘도깨비’ ‘혁신’ 등 다섯 편의 글로 구성됐다.

‘에세이’를 표방하고는 있으나 전문적인 식견이 없는 사람들에겐 다소 난해한 책이 될 수 있겠다. 마치 시를 쓰듯 생각과 생각, 경제와 관련된 용어와 용어가 자유롭게 날아다니는데, 따라잡기가 쉽지 않다. 1만 2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0-10-09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