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기용의 전략가… 인간 조조를 되짚다

인재기용의 전략가… 인간 조조를 되짚다

입력 2010-11-06 00:00
업데이트 2010-11-06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조 평전】 장쭤야오 지음 민음사 펴냄

조조(曹操·155~220)는 후한 말기 환관 조등이 양자로 들인 조숭의 아들이다. 조조는 수많은 영웅들이 할거했던 위, 촉, 오 삼국시대에 뛰어난 지략을 발휘하며 최후의 승자로 우뚝 섰고 정치, 경제, 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수많은 공적을 남겼다. 그럼에도 간사하고 잔혹하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조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남송 때 주희가 편찬한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과 명나라 ‘삼국연의(三國演義)’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중국 역사학계의 원로이자 조조 연구의 최고 권위자 중 한명인 대학자 장쭤야오는 ‘조조 평전’(남종진 옮김, 민음사 펴냄)에서 ‘한서(漢書)’와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진서(晉書)’ ‘자치통감(資治通鑑)’ 등 정통 역사서에 근거하여 조조의 업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 잔인했던 사람됨을 비난하면서도 조조의 온전한 면모를 객관적으로 재구성해 나간다.

조조는 권세 있는 가문에서 자라 20세 때 효렴(孝廉)으로 추천돼 낙양 북부위에 임명됐다. 위(尉)는 궐문 수비를 하며 치안을 담당하는 직책이다. 조조는 위였던 시절, 황제가 총애하는 환관의 숙부가 야간통행금지 규정을 어기자 가차 없이 죽이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낮은 관직임에도 세도가를 두려워하지 않고 폐단을 바로잡으려 진언하면서 혁신을 이루려는 정치가의 기백을 일찌감치 드러냈던 것이다.

자신의 젊은 인생에서 몇 차례 굴곡을 겪으며 담력, 식견, 능력을 세상에 드러낸 조조는 서른넷의 나이에 도위에 임명되면서 뜻을 펼치기 시작했고 동탁을 토벌하면서 시작된 그의 이후 인생 행보는 잘 알려져 있다. 조조의 독특한 성격과 전쟁터에서의 드라마틱한 사건, 흥미로운 이야기들은 널리 회자됐지만 정작 실제 인간으로서의 조조는 제대로 조명되지 않았다는 것이 저자의 견해다.

저자는 조조 사후 여러 시대를 거치며 계속해서 엇갈렸던 평가들을 모두 되짚어보면서 좀 더 객관적인 모습의 조조를 재현해 내고자 했다. 즉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나타나는 그의 장단점과 사상을 자세히 분석한 것이다.

역사서에 나타난 전략가로서의 조조는 첫 걸음을 인재 기용에서 시작했다. 사람을 쓸 때 오직 재능만 기준으로 삼았고 특정한 틀에 얽매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바른 생각으로 인재를 부리고 나아가 지력과 용력이 뛰어난 인재를 기용한다면 결국 천하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인재 한 사람을 얻을 때마다 크게 기뻐했다. 직무에 맞는 개인의 장점이 중요할 뿐 그 외의 사람됨이나 직무와 관련 없는 단점은 문제가 안 된다는 게 조조의 생각이었다. 조조가 인재를 모으려 한 ‘취사물폐편단령’(取士勿廢偏短令)의 ‘품행이 바른 인물이 반드시 진취적인 것은 아니며, 진취적인 인물이 반드시 품행이 바른 것은 아니다…한 개인이 단점이 있다 하여 등용하지 않을 수 없다.’라는 내용이 이를 말해준다.

이런 용인술은 자연히 신하들을 고무시키고 믿고 따르게 하는 힘의 근원이 되었다. 하지만 조조는 의심이 많아 항상 남을 시험했다. 특히 ‘내가 남을 저버릴지언정 남이 나를 저버리게 하지 말라.’는 신조를 갖고 살았다.

조조는 또 수준 높은 작품을 남긴 문학가이기도 했다. 생활 속에서 학문과 문학을 쉽게 접했던 그는 시문에 애정을 갖고 활발한 창작 활동을 벌임으로써 악부(樂府)의 전통을 계승하고 새로운 형식의 사언시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가격 3만 5000원.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0-11-06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