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한, 인간과 닮은 神

불완전한, 인간과 닮은 神

입력 2012-11-17 00:00
업데이트 2012-11-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유럽 신화여행】최순욱 지음 서해문집 펴냄

일반에 널리 알려진 유럽의 신화는 그리스·로마 신화다. 아서왕 이야기 등을 담은 켈트 신화 또한 그에 버금가는 인지도를 갖고 있다. 하지만 북유럽 신화를 아느냐고 묻는다면 열에 아홉은 고개를 외로 꼬을 게다.

‘북유럽 신화 여행’(최순욱 지음, 서해문집 펴냄)은 여전히 우리에게 생경한 북유럽의 신화를 전하고 있다. 북유럽 신화는 그리스·로마 신화, 켈트 신화와 더불어 유럽 3대 신화로 꼽힌다. 게르만족 사이에 회자되던 옛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게르만족은 원래 북유럽에 살던 민족이었다. 켈트족을 밀어내고 로마를 무너뜨린 뒤 중부 유럽까지 영역을 넓혔던 게르만족은 그러나 남하하던 와중에 로마문명과 접하면서 자신들의 신화를 잃어버리고 만다. 게르만족의 정신세계를 지탱했던 신화 또한 그들의 본래 터전인 노르웨이와 스웨덴·아이슬란드 등에만 남게 됐다. J R 톨킨의 원작을 영화화한 ‘반지의 제왕’은 북유럽 신화에서 많은 모티브를 따온 것이다.

책에는 우리에게 친숙한 장면들이 가끔 나온다. 예컨대 풍요의 신 프레이르는 늘 두 개의 보물을 거느리고 다니는데, 그중 하나가 황금 수퇘지 굴린부르스티다. 풍요를 상징하는 황금 돼지, 어딘가 물질적 행운을 부르는 우리의 ‘돼지꿈’과 닮았다.

미의 여신 프레이야 이야기는 동화 백설공주의 모티브가 된 듯하다. 프레이야는 자신의 상징과도 같은 목걸이 브리징아멘을 늘 매고 다닌다. 목걸이를 만들어 준 이는 세공 기술이 빼어난 네 난쟁이. 신화는 프레이야가 브리징아멘을 얻기 위해 난쟁이들의 요구대로 각자 하룻밤씩 모두 나흘 동안 난쟁이들과 잠자리를 함께한 것으로 적고 있다. 이런 ‘19금’의 내용이 백설공주 형태로 각색돼 후대에 전해진 것.

북유럽 신화의 가장 큰 특징은 비극적 정서가 전체를 아우른다는 것이다. 북유럽 신화는 세계 창조에서부터 신과 거인 간 최후의 전쟁인 ‘라그나뢰크’로 세계가 몰락할 때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신들이 죽고 나서야 비로소 인간의 시대가 시작된다. 바로 이 대목에서 제우스 등 12신이 불멸의 존재로 그려지는 그리스·로마 신화와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북유럽 신화에서 불멸의 신은 없다. 주신(主神) 오딘은 라그나뢰크에서 늑대 펜리르에게 잡아먹힌다. 얼마 전 할리우드 영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했던 토르 또한 거대한 뱀 요르문간드의 독에 죽는다.

저자는 “이처럼 북유럽 신화의 신은 모순이나 결함을 가진 존재로 등장한다.”며 “완벽하지 못하다는 점에서 ‘인간적’이라고 볼 수도 있는 이런 특징들이 종말이 주는 비극성과 결합해 신화에 비장미를 불어 넣고 있다.”고 말했다. 2만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2-11-17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