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봉’ 윤형주의 음악과 인생

‘세시봉’ 윤형주의 음악과 인생

입력 2012-12-29 00:00
업데이트 2012-12-29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의 노래, 우리들의 이야기】 윤형주 지음/삼인 펴냄

1960~70년대를 풍미했던 포크 가수 윤형주(65)가 자전적 에세이집을 냈다. ‘나의 노래, 우리들의 이야기’(삼인 펴냄)다. 책은 ‘내 인생의 열 가지 풍경’과 ‘세시봉의 친구들’ 등 두 개 테마로 나눠져 있다. 전반부 10개 풍경들엔 자신이 겪어온 삶의 편린들을 빼곡하게 담았다. 일생을 통틀어 가장 치욕스러웠던 대마초 파동, 가수를 ‘풍각쟁이’라고 여겼던 아버지와 의 갈등, 공연 기획자로서 겪었던 실패담 등 내밀한 이야기들로 채웠다.

책은 저자가 ‘트윈 폴리오’를 해체하고 연세대 의대에 복귀한 시점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10개의 풍경 가운데 맨 마지막 장인 ‘윤형주는 가수다’ 편에서 다시 가수 입문과 ‘트윈 폴리오’ 결성까지 과정을 그린다. 자서전의 일반적인 패턴인 시간의 흐름을 살짝 비튼 것. 트윈 폴리오를 해체한 뒤, 다시 방송을 통해 음악계에 복귀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모멘텀이었다는 뜻이었을까.

후반부는 ‘절친’들에 관한 장이다. 연세대 동기동창인 콧수염 가수 이장희는 ‘치명적인 매력을 가진 보헤미안’으로, 양희은은 ‘언제나 씩씩한, 그러나 애틋한 내 동생’으로, 김세환은 ‘멋쟁이 내 동생’으로 그려진다. 그에게 조영남은 ‘엉뚱함의 최고봉’이었고, 전유성은 ‘숫기 없는 개그맨 1호’였다. 한데 있어야 할 사람이 보이지 않고, 뜻밖의 사람이 보이기도 한다. 가수 이종용이 그렇다. 거칠고 정제되지 않은 듯한 이종용과 ‘엄친아’ 윤형주가 교분을 나누었다는 게 의외다. 대마초 파동에 연루돼 옥고를 치르는 과정에 잠깐 등장하는 ‘꼽슬이’도 마찬가지. 반면 ‘트윈 폴리오’의 파트너였던 송창식은 보이지 않는다. 그는 “송창식이 모든 얘기들에 배경처럼 깔려 있어서” 따로 항목을 만들지 않았다고 했다. 보편적인 잣대로만 보면, 사실 송창식과 저자는 그리 어울리는 편이 아니다. 저자 스스로도 “우리는 많이 달랐다.”고 했다. 이 문장이 함축하고 있는 게 어디 음악적 지향점뿐이랴.

그러나 의외의 조합이었던 ‘트윈 폴리오’는 약 2년 동안 활동하며 사람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그 짧은 시간 동안 ‘하얀 손수건’, ‘웨딩 케이크’ 등 번안곡을 히트시키며 당대의 가요계를 휘어잡았으니 말이다. 부조화의 역설이다. 예나 지금이나 저자는 활동 영역이 넓다. 밖의 시선으로 그를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한데 스스로 “윤형주는 가수”란다. 담백하다. 덧대고 뺄 게 없다. 그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나를 기억하는 이름”이고 “내 인생의 가장 설레는 순간을 보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책 말미에 자신의 히트곡과 애창곡을 담은 CD를 남겨뒀다. 1만 3800원.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2-12-29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