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중심 사회의 차별에 발버둥 친 여성 이야기] 살아남기 위해 ‘남성’ 된 알파걸들

[남성 중심 사회의 차별에 발버둥 친 여성 이야기] 살아남기 위해 ‘남성’ 된 알파걸들

입력 2014-06-07 00:00
업데이트 2014-06-07 0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성 영웅의 탄생/모린 머독 지음/고연수 옮김/교양인/360쪽/1만 5000원







인간들이 모여 사는 사회의 대부분은 남성이 중심이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당연히 마초적 법칙이 근간을 이룰 텐데 이런 남성 중심 사회에서 여성이 성공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거의 없다. 기껏해야 영웅적 남성의 길을 따라가는 것 정도? 그도 아니라면 남녀평등이란 레토릭 뒤에 안주하는 걸로 만족해야 한다.

여성들은 이런 분위기 속에서 스스로를 열등한 존재로 여기고 남자처럼 되길 원한다. 여성의 정체성 부정은 여성성의 상징인 어머니를 부정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어머니의 삶을 평가절하하고 어머니와의 분리를 끊임없이 시도한다. 그 길의 끝은 이른바 ‘아버지의 딸’이다. 그러나 새 책 ‘여성 영웅의 탄생’은 이 과정이 반복될수록 여성에게 남는 건 공허함과 쓰라린 고통일 것이라고 단언한다.

저자는 심리학자이자 상담가다. 외견상 성공했다고 보이는 수많은 여성과 상담하다 보니 뜻밖에 이들 대부분이 자신의 삶을 불만스러워 했다. 사회적 성취를 위해 분투하던 ‘여성 영웅’들이 갑자기 삶의 의미를 잃고 우울과 상실감에 빠지게 되더라는 것이다. 어디서 단추가 잘못 끼워진 걸까. 저자는 그게 남성적 가치를 따른 결과라고 본다.

어머니처럼 되지 않으려는 여성들은 남성인 아버지에게서 대안을 찾게 된다. 그리스 신화 최초의 여성 영웅 아탈란타, 여인국 전사 아마조네스에 이어 현대의 알파걸이 그 모습을 보여 준다. 알파걸은 지는 법을 몰라야 했다. 남성 중심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다. 한데 결과는 늘 ‘상처뿐인 영광’이었다.

저자가 주장하는 건 여성성의 회복이다. 느끼고, 치유하고, 창조하는 여성 특유의 힘을 되찾으라는 거다.

전제는 ‘어머니’와의 관계 회복, 그리고 내면의 성장이다. 저자가 “남성이라는 성(gender)에는 본질적으로 어떠한 마술적 힘이나 권위도 내재돼 있지 않다”며 “남성들의 세계에 적응하기 위해 다른 여성들을 업신여기면서 남성을 모방하는 여성은 남성들이 그저 남성이란 성별을 가진 인간이라는 걸 알라”고 일갈한 것도 그런 이유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4-06-07 1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