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남성들의 성적 방종… 가정폭력…

1930년대 남성들의 성적 방종… 가정폭력…

입력 2014-06-28 00:00
업데이트 2014-06-28 0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성 고민상담소/전봉관 지음/민음사/324쪽/1만 9800원

1930년대 한 여인이 털어놓는 사연이다. ‘저는 31세 된 여자입니다. 15세 때 부모의 주선으로 다섯 살 어린 남자와 결혼하였습니다. 남편 되는 사람은 부모가 없어 지금까지 외조모님 슬하에서 살아왔습니다. 4년 전 남편은 다른 여자를 사랑하여 딸까지 낳았고, 시외조모는 제게 열 살과 여섯 살 되는 두 아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를 학대하는 까닭에 저는 하는 수 없이 아들을 뺏기고 집에서 쫓겨나 남의 집에서 일하면서 오직 남편이 회개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남편은 다롄에 가 있다고 합니다. 시외조모는 아들이 없는 분으로 저의 남편을 양자로 들였습니다. 시외조모는 저보고 다른 곳으로 개가하라고 합니다. 남편과 남편의 양모인 시외조모에 구박을 받고 있는 저는 어찌하리까?’

부모가 없는 남편을 양자처럼 키우는 시외조모의 학대와 이혼 요구, 남편의 외도와 가출, 그리고 시집에서 쫓겨난 이후의 생계문제 등을 절절하게 고민하고 있다. 불행의 근본 원인은 부모의 강요로 너무 어린 나이에 자신보다 더 어린 남편과 혼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조혼한 남편은 철없던 시절 자식을 낳고 본부인과 그럭저럭 지내다가 성년이 되고 이성에 눈뜬 후 다른 사랑을 찾아 처자식을 버렸다. 신간 ‘경성 고민상담소’는 1930년대 남성들의 성적 방종, 제2부인 문제, 가정폭력의 기저에는 조혼풍습, 뿌리 깊은 정조관념, 남성의 간통죄를 규정하지 않는 법규 등이 문제로 얽혀 있음을 다루고 있다. 그러면서 길항하는 가치들의 충돌이 개인의 삶을 어떻게 비극으로 몰아갔는지 적나라하게 고발한다. 근대와 전근대가 착종하던 1930년대는 ‘성 윤리의 아노미 시대’라고 할 만큼 혼란했음을 지적하고 사회의 구조적 병폐를 분석한다. 당시 신문의 ‘독자문답’에 소개된 사연을 통해 1930년대 한국인이 사적인 영역에서 실제로 무엇을 고민했는지 등을 자세하게 살핀다.

김문 선임기자 km@seoul.co.kr

2014-06-28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