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탕평군주 되려던 ‘성군’ 영조의 두 얼굴

강한 탕평군주 되려던 ‘성군’ 영조의 두 얼굴

입력 2014-09-20 00:00
업데이트 2014-09-20 02: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두 얼굴의 영조/김백철 지음/태학사/504쪽/2만 5000원

조선 제21대 왕 영조(1694~1776)는 18세기 조선의 중흥기를 이끈 임금으로 평가된다. 조선왕조 임금 중 재위 기간(52년)이 가장 길었던 왕이다. 콤플렉스와 개인사적인 불행을 안고 있었으면서도 탕평책을 써 붕당 간 경쟁을 완화하고 민생을 위한 정치를 폈던 성군(聖君)으로 흔히 인식된다. 정약용도 ‘경세유표’에서 영조를 전설적인 성군으로 바라봤다. 영조는 일반의 통념처럼 과연 성군이었을까.

이미지 확대
‘두 얼굴의 영조’는 그러한 일반의 통념, 인식과는 조금 다르게 ‘성군 영조’를 들여다보고 있어 흥미롭다. 책 제목 그대로 영조는 ‘전율(戰慄) 군주’와 요순(堯舜)의 현신을 오간 두 얼굴의 임금이었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우선 저자는 살얼음을 걷는 심정으로 평화의 시대를 이룩한 영조가 집권 후반기에 치중한 탕평정치는 난국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지금까지도 흔히 영조를 성군으로 추앙하는 큰 요인인 탕평에 대한 색다른 해석인 셈이다.

영조가 탕평책을 쓴 이후 신료들은 언제 충신과 역적이 엇갈릴지 모르는 불안한 정국에서 벗어나 실력 본위의 출사를 희망할 수 있었다. 영조도 붕당 명분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위상을 설정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노론, 소론의 당론이 무력화되면서 각 붕당에서 청류(淸流)를 자임하는 인사와 훈척(勳戚) 출신이 정국 주도권을 놓고 경쟁하기 시작했다. 결국 영조는 재위 38년째 되던 해 인사 문제를 기화로 10년 이상 지근에서 자신을 보필한 김치인을 처벌했다. 이 사건은 소론에 대한 강력한 숙청으로 노론을 억눌렀던 을해옥사, 왕세자조차 처벌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점을 상기시켜 신료들을 전율케 한 임오화변과 연결된다. 영조는 그 사건들을 대탕평의 일환이라고 강변했다 한다. 흥미로운 점은 그 과정을 거쳐 새롭게 확보한 군주의 위상이 바로 요순의 현신으로 인식됐다는 것이다. 왕실과 군주의 절대적인 권위를 확보한 영조는 선왕대에 대신에게 질의하는 정도에 불과했던 순문(詢問)을 하급 관리부터 시골 농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확대했다. 강력한 탕평 군주를 실현하기 위해 언론을 장악한 사실도 소개된다.

저자는 영조의 탕평 군주상 창출은 후대인 고종 연간에 있었던 추존사업의 결과였음을 지적한다. 세도정치기에 위축된 왕실의 권위를 반석 위에 세우기 위해 조선 초기의 강력한 왕권을 꿈꾼 18세기 탕평 군주를 재발굴해 냈다는 것이다. 저자는 책 말미에 이렇게 쓰고 있다. “탕평 군주에 대해 단지 권력을 전제해 붕당을 일시적으로 억눌렀을 뿐 근본적인 개혁에는 실패했다는 평가는 사실과 다르다. 영조가 보여준 두 가지의 얼굴은 이전까지 경험해 보지 못했던 새로운 조선의 탄생을 의미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4-09-20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