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구조 따라 변하는 경제 다가올 인구절벽 대비하라

인구 구조 따라 변하는 경제 다가올 인구절벽 대비하라

입력 2014-12-13 00:00
업데이트 2014-1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8 인구절벽이 온다/해리 덴트 지음/권성희 옮김/청림 출판/444 쪽/1만 7000원

경제 예측 전문기구인 미국 덴트연구소의 창업자이자 HS덴트재단의 이사장인 해리 덴트는 오래전부터 인구 구조에 근거해 경제를 예측해 왔다. 사람들이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연스럽게 하게 되는 일들이 경제 추세를 이해하는 궁극적인 도구라는 그의 주장은 실제 사례들이 하나둘씩 쌓이면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신간 ‘2018 인구절벽이 온다’에서 덴트는 현재의 인구 추세로 미뤄 5년 내에 소비자, 노동자, 투자자가 감소하는 ‘인구 절벽기’가 온다고 전망하며 미래에 대한 준비를 당부한다. ‘인구 절벽’이란 한 세대의 소비가 정점에 오른 뒤 감소해 다음 세대가 소비의 주역으로 출현할 때까지 경제가 둔화하는 상황을 말한다.

저자에 따르면 인구통계상 이미 일본과 미국은 소비 정점을 지났고 유럽에서는 2013년 독일을 시작으로 소비 흐름이 절벽에서 떨어지듯 급락하기 시작했다. 이어 영국, 스위스, 오스트리아 순으로 소비 절벽에 도달해 2018년 바닥을 치고 2020년쯤에나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특히 저자는 한국에 대해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소비가 정점에 머무르며 고원을 형성하다 급격하게 위축할 것으로 전망한다. 일본의 소비가 수십 년간 내림세를 지속한 것과 같은 흐름으로 한국은 일본의 과거와 현재 상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책은 앞으로 10년 이내 전 세계 부동산 가격은 거품이 터지면서 급속하게 꺼질 것으로 전망한다. 한국에서 가장 먼저 타격을 입는 쪽은 부동산인 만큼 지금이 장기침체에 앞서 필수적이지 않은 부동산을 괜찮은 가격으로 매각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조언한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4-12-13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