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무의식과 현대 문화 접속의 열쇠, 신화

고대 무의식과 현대 문화 접속의 열쇠, 신화

입력 2014-12-26 17:50
업데이트 2014-12-27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화와 정신분석/이창재 지음/아카넷/648쪽/2만 5000원

정신분석의 창시자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아 분석심리학의 기초를 세운 카를 구스타프 융에 따르면 신화란 ‘고대 인류의 무의식이 상징으로 표현된 것’이다. 무의식에는 강력한 본능 욕구와 감정, 환상, 내적 대상, 결코 잊을 수 없는 상처와 재난 흔적, 생존을 위해 유념해야 할 메시지들이 들어 있다. 따라서 고대의 신화는 각 민족 구성원들에게 위기와 불안에 대처하는 방법, 인간의 본질과 삶의 목표 등을 안내해 주는 최고의 치유적 서사였음을 알 수 있다. 전 세계 민족들의 수많은 신과 신화들이 등장인물이나 사건에서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 큰 줄거리에서는 상당한 유사성이 발견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이미지 확대
신간 ‘신화와 정신분석’은 프로이트정신분석연구소장인 저자가 정통 프로이트 이론과 융 분석심리학 이론, 현대 정신분석 이론을 종합해서 한·중·일 신화를 비롯해 전 세계 민족 신화를 해석한 책이다. 1부에서 신화 해석을 위한 정신분석 관점과 개념, 주요 정신분석학자들이 제공하는 무의식의 유형을 소개한 뒤 2부에서 한·중·일의 영웅신화와 수메르, 이집트, 그리스 신화에 대한 정신분석을 담았다.

정신분석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하되 인류학·민속학·신화학의 관점을 반영한 책은 영웅의 일대기 신화를 각 민족이 고유의 체험을 통해 얻은 지혜를 후손에게 전한다는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를 통해 인간이 어떤 통과의례를 거쳐야 과거의 상처를 딛고 일어나 자신과 집단을 위해 거대한 힘을 발현할 수 있는 성숙한 인간이 될 수 있는지를 규명했다.

저자는 “신화를 이해한다는 것이 단순히 각 민족의 옛이야기에 관심을 기울이는 차원이 아니다. 그것은 ‘현대’라는 독특한 문화와 생활환경에 적응하며 사는 우리가 우리의 사유체계와 전혀 다른 체계에 접속해 인생의 본질과 목적, 현실의 곤경과 불안에 대처하는 방법 등의 주제를 거시적으로 음미하는 작업”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4-12-27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