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지망생의 책장-읽어라, 청춘] 작가 전상국은

[서울대 지망생의 책장-읽어라, 청춘] 작가 전상국은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5-07-26 17:52
업데이트 2015-07-27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63년 단편 ‘동행’으로 등단, 분단 현실 가족사 맥락서 성찰, 권력·폭력 등 사회모순 작품화

1940년 태어난 전상국(75)은 어린 시절을 강원도 홍천에서 보내며 한국전쟁을 겪었다.

경희대 국문과 대학원까지 마치고 196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동행’이 당선돼 등단했다.
전상국 작가 연합뉴스
전상국 작가
연합뉴스


하지만 이듬해 귀향해 1974년 서울에서 다시 작품을 발표하기까지 10년 넘게 문학을 등지고 살았다. 이 기간 동안 고등학교에서 국어 교사를 했다.

그는 과거 언론 인터뷰에서 “교사 생활이 적성에 맞았지만, 하루하루가 즐거운 가운데에서도 어딘가 허전함을 지울 수 없었다”고 당시를 떠올린 적이 있다. 전 작가는 “그것이 등 뒤에 버려둔 문학 때문임을 알면서도 모르는 체했다”며 “문학이 외면한다고 외면되는 것이 아님을 그때는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자신이 정말로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즐겁게 할 수 있는 일, 놀이로서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은 문학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는 데 꼬박 10년이 걸린 셈이다.

전 작가는 1963년 발표한 작품에서 풀피리 부는 소리를 ‘ㅍㅍㅍ’, 뻐꾸기 울음 소리를 ‘워꾹 워 워꾹’으로 쓰는 등 당시로는 파격적인 표현을 사용해 눈길을 끌었다. 작품 속에서 숱한 의성어들을 변주하고 창조했던 그는 “어휘력이 부족해 그걸 감추려고 하다 보니까 괜찮은 낱말들, 새로운 낱말들을 자꾸 찾아 쓰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년 시절에 겪은 전쟁의 상처와 분단 현실을 가족사의 맥락에서 성찰하는 한편 교육 현장의 폭력과 권력의 문제를 파고들어 우리 사회의 모순을 탐구하는 작품 세계를 펼쳐 왔다. 현대문학상, 한국문학작가상, 동인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윤동주문학상, 김유정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김유정기념사업회 이사장이자 강원도 춘천의 김유정문학촌장을 맡고 있는 그는 여전히 현실과 역사를 넘나들며 귀환 구조와 전쟁으로 인한 실향 의식, 삶의 뿌리 찾기 의식을 깊이 있게 탐구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7-27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