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이 건넨 ‘진정한 위로’란

인문학이 건넨 ‘진정한 위로’란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1-29 00:17
업데이트 2024-01-29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로의 글 19편 담긴 ‘아크’ 7호

이미지 확대
고민이나 일상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상대에게 뭔가 내 생각을 이야기해 주는 것이 위로라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그렇지만 그런 말들은 대부분 섣부른 충고나 책임지지 못할 오지랖, 또는 속된 말로 ‘라떼는’을 외치는 꼰대 취급받기 십상이다. 그렇다면 진정한 위로란 무엇일까.

인문학 무크지 ‘아크’ 제7호(사진)는 양극화와 소외, 전쟁과 재난 등 크고 작은 위기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위로’를 인문학적으로 성찰하는 19편의 글을 실었다. 고영란 아크 편집장은 “‘그런 나약한 정신으로 세상을 어떻게 헤쳐 가’라거나 ‘네가 좀 노력해 봐’라는 식으로 모든 문제를 개인 탓으로 돌리는 사회에서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포기하거나 원망할 대상을 찾아 분노를 표출하는 일밖에 없다”면서 “말하는 것조차 낡아 버린 ‘희망’을 찾기 위해, 뻔한 위로 말고 진정한 위로가 무엇인지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한다.

사회학자이면서 작가인 장현정은 ‘인간이 불가능을 극복하는 방식, 위로’라는 글에서 “도시인들은 그 자신이 환자인 경우가 많으니 누굴 위로할 겨를도 없으며 위로에 서툴 수밖에 없다”고 꼬집는다. 진짜 위로는 기억하고, 끊임없이 다시 떠올리고, 함께 의미를 부여하고, 새로운 눈을 획득해 이전에는 없던 것을 창조해 내면서 가능해진다고 그는 주장한다.

그런가 하면 정신과 의사인 권명환은 ‘함께 외로운 우리 시대의 위로’라는 글을 통해 “언젠가부터 진료실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이 위로받고 싶다는 말”이라며 경험을 고백한다. 그는 “위로가 가능해지려면 공감이 전제되어야 한다”면서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는 능력으로 고통을 겪는 사람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유용하 기자
2024-01-29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