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장인 손길 느껴지는 남성 맞춤정장

이탈리아 장인 손길 느껴지는 남성 맞춤정장

입력 2010-03-20 00:00
업데이트 2010-03-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 벌에 1000만원에 이르는 이탈리아 맞춤 남성복을 누가 입을까 싶지만 제일모직에서 수입해 이건희 전 삼성 회장이 최근 선보인 ‘란스미어’ 정장은 모두 팔렸다는 후문이다. 역시 이탈리아 남성복 브랜드인 ‘브리오니’는 비싼 옷값에 걸맞게 ‘슈트 왕진 가방’이란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급 남성복을 입는 유명인사들은 쇼핑할 때 사생활 정보가 새어나가는 것을 꺼린다는 점에 착안한 ‘슈트 왕진 가방’은 말 그대로 브리오니의 장인이 고객의 집을 찾아 옷에 불편한 점은 없는지, 체형이 바뀌어 수리할 부분은 없는지 챙기는 것.

여기에다 이달 말까지는 MTM(Made to Measure) 서비스도 실시된다. 고객에게 맞춤 옷을 만들어주는 MTM 서비스는 구두, 가방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수십년 경력의 장인들이 일일이 수공으로 만드는 브리오니의 맞춤 정장은 한 벌당 평균 1000만원. 하지만 자신만을 위해 존재하는 ‘단 하나의 상품’에 투자하는 이들이 의외로 많아 브리오니 전체 생산량의 25%가 MTM 고객들에 의해 소비된다.

서울 신라호텔과 하얏트호텔 브리오니 매장에서 신체를 측정하고서 원단, 깃, 소매 등 세세한 부분까지 고르면 이탈리아 펜네에 있는 브리오니 공장에서 약 6주 뒤에 나만을 위한 정장이 완성되어 온다.

브리오니에 소속된 1500여명의 재단사들은 세계 각지에서 주문받은 정장을 하루에 약 300벌까지만 만들어낸다. 로에베도 4월4일까지 의류와 액세서리를 MTM으로 맞춤 제작한다. 프랑스 수제화 벨루티는 22~28일 본사의 장인이 한국을 방문해 발 크기를 잰 다음 6달 뒤 맞춤 신발을 보내준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3-20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