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리뷰]박진성 데뷔작 ‘마녀의 관’… 실험성 가득

[영화리뷰]박진성 데뷔작 ‘마녀의 관’… 실험성 가득

입력 2010-03-05 00:00
업데이트 2010-03-0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특하고 진지하고 실험적이고 색다르지만 어렵다. 4일 개봉한 판타지 호러 ‘마녀의 관’이 그렇다. 지난 2007년 주목받았던 공포 영화 ‘기담’의 원작자인 박진성 감독의 데뷔작이다. 러시아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대문호 평가를 받는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이 자신의 두 번째 소설집 ‘미르고로드’에 실었던 단편 ‘비이(VIY)’를 각색한 작품이다.

이미지 확대
영화는 3막, 세 가지 에피소드로 이뤄졌다. 1막 ‘이상한 여자’는 고골의 ‘비이’를 각색해 영화로 만드는 영화감독 P(정승길)의 이야기다. 오디션을 통해 빼어난 재능을 지닌 신인 여배우(임지영)를 캐스팅하지만, P는 그녀에게 알 수 없는 강박증을 갖게 되고, 현실과 환상의 경계가 무너진다. 2막 ‘마녀의 관’은 19세기 우크라이나 키예프의 신학생 호마(정승길)의 이야기다. 그는 어느 날 들판에서 노파(임지영)를 때려 죽인다. 알고 보니 지역 영주의 딸. 호마는 그 시신 옆에서 사흘 동안 기도문을 낭독하게 된다.

3막 ‘커튼콜’은 밤 늦게까지 술집에서 기타를 연주하는 시각장애인 앙리 박(정승길)이 주인공이다. 앙리 박은 지친 몸을 이끌고 새벽까지 ‘비이’를 인형극으로 만드는 극단에서 음악 감독으로 일한다. 자신의 음악을 이해해 주는 인형술사(임지영) 등을 만난 앙리 박은 너무나 행복하다. 그러나 이 극단은 평범한 극단이 아니었다.

깜짝 놀라게 하거나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일반적인 공포 영화를 예상하고 극장을 찾는 관객이라면 당황할 수 있는 작품이다. 설화적이고 환상적인 러시아 고전이 진지하고 차분하게 변주되며 세 가지 에피소드를 관통한다. 인간 내면에 있는 공포의 본질을 형상화했다고 하지만 스토리텔링 방식이 난해해 따라가기가 쉽지 않다. 예술 창작의 고통과 두려움을 말하려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일본 설화 ‘귀없는 호이치 이야기’를 섞어 놓은 3막이 그나마 쉬운 편이다.

형식은 상당히 파격적이라 신선하다. ‘비이’를 고스란히 재현했다는 2막은 연극 무대를 통째로 옮겨왔다. 일인다역을 한 배우들이 등장해 인사하는 3막의 마지막 장면도 마치 연극 같은 느낌을 준다.

촬영을 끝낸 지 약 2년 만에 지각 개봉하는 ‘마녀의 관’은 가족의 힘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시나리오는 ‘기담’과 마찬가지로 박 감독과 그의 친동생 박진석 감독이 함께 맡았다. 동생은 음악도 담당했다. 김선민 편집 감독은 박 감독의 아내로 ‘살인의 추억’, ‘괴물’, ‘추격자’ 등을 거친 베테랑이다. 2막의 일부가 3차원(3D)으로 촬영됐지만 여건상 일반화면(2D)으로 개봉해 아쉬움을 남긴다. 일단 서울 대신동 필름포럼과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점 두 곳에서 상영한다. 116분. 18세 이상 관람가.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3-05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