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 영상+ 수학의 만남‘알바 노토’ 첫 한국 공연

음악 + 영상+ 수학의 만남‘알바 노토’ 첫 한국 공연

입력 2010-10-29 00:00
업데이트 2010-10-2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 3~4일 LIG아트홀서

음 하나하나에 담긴 의미를 되짚어 보고 싶다면 다음 달 3~4일 오후 8시 서울 역삼동 LIG아트홀에서 열리는 ‘알바 노토’(alva noto) 공연을 놓치면 아깝다.

세계적 사운드 아트의 거장으로 꼽히는 독일 음악가 알바 노토(본명 카스텐 니콜라이·45)의 라이브다. 알바 노토는 그가 만드는 공연 제목이자 앨범 제목이기도 하다. 영화음악 거장으로 꼽히는 영국의 마이클 니만, 일본의 설치예술가 이케다 료지 등과 함께 공동작업도 많이 했다. 때문에 국내 뮤지션들의 관심도 폭발적이다. 3일에는 ‘제록스’(xerrox), 4일에는 ‘유니티엑스티’(uni-txt) 공연을 벌인다.

이미지 확대
알바 노토는 음악과 영상과 수학이 만나는 공연으로 유명하다. 단순히 음악만 들려주는 게 아니라 수학적 원리에 따라 음악을 만들고, 그것을 동시에 이미지로 표현해 내는 방식이다. 핑크 플로이드의 ‘펄스’(Pulse) 공연 실황을 떠올리면 된다.

핑크 플로이드가 기본 베이스 리듬으로 음악의 육체성을 유지하는 쪽을 택했다면, 알바 노토는 때론 전자음의 반복으로 이를 대신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아예 육체성을 형해화하는 곡도 선보인다. 관건은 어디서 소리를 얻어 내고, 이를 어떻게 배치하고, 이를 영상으로 어떻게 표현해 내는가다.

이번 공연에도 이런 특징이 고스란히 묻어 있다. 제록스는 말 그대로 복사기 이름. 길을 걷다 무작위로 들리는 소음을 채취한 뒤 기계적 샘플링을 통해 독특한 그 무엇으로 바꿔 낸다. 아우라가 사라진 무한복제의 세계를 탄식했던 독일 철학자 발터 베냐민과 달리 원본과 사본의 구분이 무의미해진 세상에서 남는 것은 오직 무한복제 그 자체라는 점을 각인시켜 준다.

유니티엑스티는 리듬을 수학적으로 분할하는 공연이다. ‘uni-txt’라는 표현 자체가 리듬이 바로 언어와 문화 등의 경계를 뛰어넘는 유니버셜 텍스트가 아니겠느냐는 물음을 품고 있다. 한국 초연으로 일본, 중국으로까지 이어지는 투어공연이다. 전석 5만원. 1544-1555.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10-29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