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리뷰] 극단 ‘마방진’의 ‘들소의 달’ - 폭력의 악순환

[연극리뷰] 극단 ‘마방진’의 ‘들소의 달’ - 폭력의 악순환

입력 2011-09-30 00:00
업데이트 2011-09-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양수.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죽기 직전까지 상처를 받고 폭력에 시달리다 정신이 이상해진 불쌍한 남자다. 그의 인생 궤적을 따라가며 연극 ‘들소의 달’은 전개된다. 1968년 봄, 엄마는 개장수와 떠났다. 1970년 탁구장, 양수는 한 동성애자로부터 성폭행을 당한다. 1974년, 군인인 아버지가 양공주를 데리고 왔다. 1980년 5월 광주, 양수는 전자오락을 하러 가던 도중 시민군으로 오해받고 심한 고문을 받는다. 1982년 군대, 봉와직염을 앓는 이병 양수의 양말을 병장이 훔쳐간다. 양수는 하나밖에 없는 양말을 훔쳐간 병장을 벽돌로 찍어 내린다. 그리고 영창을 산다.

이미지 확대
 극 중 주인공 양수 역의 조영규는 폭력이 인간의 기억을 얼마나 황폐화시키는 지를 특유의 힘과 웃음으로 풀어낸다. 코르코르디움 제공
 극 중 주인공 양수 역의 조영규는 폭력이 인간의 기억을 얼마나 황폐화시키는 지를 특유의 힘과 웃음으로 풀어낸다.
코르코르디움 제공


●죽기직전까지 폭력으로 상처받은 남자의 인생궤적

양수는 사회에 나와서도 여자친구 선녀의 옛 남자친구를 벽돌로 찍어 내린다. 세상이 그에게 가하는 다양한 농도의 폭력에 시달리던 양수는 그렇게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다. TV 프로그램 ‘동물의 왕국’을 즐겨보던 양수는 들소에 대한 존경심을 갖고 있다. 또 어릴 적부터 즐겨온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 속의 악랄한 인베이더들이 지구를 멸망시킬 거라 믿는다. 그들로부터 아내 선녀를 지키고자 양수는 몸부림친다. 그러나 그를 미치광이라고 여기는 선녀에 의해 죽고 만다.

분노로 가득찬 양수의 정신세계에는 야생동물의 천국, 아프리카의 ‘아카방고’가 존재한다. 그 안에 들소가 있다. 그는 위험한 사자로부터 들소를 지키려고 노력한다. 들소는 떼를 지어 산다. 무리에서 벗어나면 금세 먹잇감이 된다. 양수가 들소에게 집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사회에서 도태된 양수는 세상의 먹잇감이 됐고, 살고자 안간힘을 쓴다. 그래서 더욱 자신만의 정신세계에 존재하는 들소들에게 무리에서 이탈하면 큰일난다고 소리친다.

연극이 관객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이는 뜬금없이 등장하는 막간극에 함축적으로 녹아 있다. 사슴 모자(母子)가 넓은 초원에서 풀을 뜯어 먹다가 난데없는 비극을 맞는다. 슬금슬금 기어나온 사자 한 마리가 그들을 위협했고, 새끼 사슴은 그로 인해 죽음을 맞이한다. 어미 사슴은 사자를 노리다 갑자기 목표물을 변경한 포수의 총에 맞아 죽는다.

●아프리카 밀림 먹이사슬… 희화화된 폭력

관객들은 억울하게 죽음을 맞이한 약자, 사슴 모자에게 연민의 정을 느낀다. 하지만 이때, 연극은 사슴도 가해자였노라고 관객에게 말한다. 관객이 잊고 있었던 존재, ‘풀’을 사슴이 죽였기 때문이다. 여기 또 하나의 피해자가 있다. 사자 엉덩이에 붙어 있다 죽은 ‘똥파리’다. 사자가 포수의 총소리에 놀란 순간, 똥파리는 사자 꼬리에 맞아 죽는다. 극단 ‘마방진’(대각선 각 방향의 합이 모두 같은 정방행렬에서 따온 말로, 한 사람의 힘도 소홀히 하지 않겠다는 뜻)의 고선웅 연출은 ‘풀→사슴→사자→포수’라는 먹이사슬에 ‘똥파리’가 추가된 이 장면을 통해 폭력의 악순환을 희화화했다. 지난해 서울연극제에서 우수상을 받은 작품이다. 10월 2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동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3만원. (02)3668-0029.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9-30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