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민 위해 한평생… ‘철거민 곁의 예수’ 하늘로

빈민 위해 한평생… ‘철거민 곁의 예수’ 하늘로

입력 2014-06-04 00:00
업데이트 2014-06-04 0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수회 정일우 신부 선종

평생 이 땅에서 빈민 사목을 하며 ‘철거민들의 대부’란 이름을 얻었던 천주교 예수회 정일우(미국이름 존 데일리) 신부가 지난 2일 오후 7시 50분 서울 여의도성모병원에서 노환으로 선종했다. 79세.

이미지 확대
정일우 신부
정일우 신부
아일랜드계 미국인인 정 신부는 18세 때 예수회에 입회, 1960년 예수회 신학생으로 처음 한국 땅을 밟았다. 1963년 실습을 마친 뒤 미국으로 돌아가 사제서품을 받았고 고교 은사인 바실 프라이스 신부(2004년 선종)의 영향으로 1966년 다시 한국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 신부는 서강대 설립 주역인 프라이스 신부와 함께 서강대에서 강의하던 중 유신반대 운동을 벌였고, 그로 인해 여러 차례 강제 추방될 위기를 겪기도 했다. 고 김수환 추기경의 영성 지도신부이기도 했던 정 신부는 예수회 수련장으로 영성신학을 지도하던 중 개발논리에 희생된 빈민들의 삶을 접한 뒤 청계천 판자촌으로 들어갔다. 철거민들은 청계천과 양평동, 상계동 등에서 늘 자신들과 함께 가식 없이 지내는 정 신부를 ‘우리 곁에 온 예수’라며 반겼다.

양평동 판자촌에서 철거당한 빈민 170가구와 함께 경기 시흥시 소래면 신천리로 옮겨간 그는 빈민운동가 고 제정구씨와 함께 복음자리 공동체를 꾸며 20여명과 함께 먹고 자며 살았다. 정 신부와 제정구씨는 1986년 아시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막사이사이상을 공동 수상했다.

정 신부는 1998년 귀화한 뒤 충북 괴산에 농촌 청년 자립을 돕기 위한 누룩공동체를 만들어 농촌운동에 힘을 쏟았다. 2004년 70세 생일을 앞두고 63일간 지속했던 단식 탓에 죽음 직전까지 갈 만큼 몸이 상해 그동안 서울 평창동 성이냐시오집에서 요양해 왔다.

고인의 빈소는 여의도성모병원, 장례는 4일 오전 8시 30분 서울 신촌 예수회센터 3층 성당에서 예수회장으로 거행된다. (02) 3779-1526.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4-06-04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