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교육…아이폰에서 노벨상까지<1>] “창의적 미래파워로” 英의 교육실험

[창의교육…아이폰에서 노벨상까지<1>] “창의적 미래파워로” 英의 교육실험

입력 2010-07-20 00:00
업데이트 2010-07-20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위10% 아이들 음악가·과학자 등이 직접 교육

영국의 대표적인 창의성교육 프로젝트인 ‘크리에이티브 파트너십(Creative Partnership·이하 CP)’의 지휘자 스티브 모핏은 지난달 “런던 사람 20%를 먹여 살리는 것은 문화·예술 산업”이라고 단언했다. 해마다 수천만명이 찾는 웨스트엔드의 화려한 뮤지컬과 영국박물관의 뛰어난 예술품도 여기에 속한다. 유럽 어느 도시보다 런던이 문화와 예술교육을 강조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문화와 예술에 ‘21세기 창의성 옷’을 입힌 런던발(發) 교육실험에 유럽이 주목하고 있다. 문화와 예술은 유럽 전체를 관통하는 ‘코드’이지만 이를 통해 미래의 먹거리를 확보하려는 시도를 하는 것은 런던이 개척자나 다름없다. 잘 둔 조상들 덕에만 의지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깔려 있다는 방증이다.
이미지 확대
지역의 예술·문화 전문가와 학교가 상호 교류를 통해 창의성 교육을 실현하는 런던발 교육혁명이 영국에서 조용히, 그러나 착실하게 추진되고 있다. 영국은 창의력으로 무장한 이들이 10년 뒤 세계를 아우르는 핵심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런던 뉴 디렉션 제공
지역의 예술·문화 전문가와 학교가 상호 교류를 통해 창의성 교육을 실현하는 런던발 교육혁명이 영국에서 조용히, 그러나 착실하게 추진되고 있다. 영국은 창의력으로 무장한 이들이 10년 뒤 세계를 아우르는 핵심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런던 뉴 디렉션 제공


●“런던 20% 먹여살리는 것은 문화·예술”

유럽 각국이 영국의 교육실험을 주목하는 것은 ‘희망의 싹’을 보았기 때문이다. 보수적인 교육현장에 문화·예술인을 제도적으로 참여시켜 새 바람을 몰고 왔다. ‘CP 프로젝트’는 런던에 살던 미국의 교육학자 켄 로빈슨의 제안을 2002년 영국 정부가 받아들이면서 시작됐다. 건축가·과학자·음악가·디자이너 등 각 분야의 전문가를 직접 교실로 들여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종의 산·학교육프로그램이다.

영국 정부는 1964년부터 문화·예술에 집중 투자를 했지만, 부유층의 전유물로 흘렀다. 대상을 명확히 하지 않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생겼고, 문화·예술이 오히려 지역과 계층의 골을 더 깊게 했다. 산업화와 함께 세계 각국에서 몰려든 이민자들로 다문화·다인종의 극심한 혼란상황을 맞았던 런던은 이런 각양각색의 인종과 언어를 하나의 문화적 에너지로 활용하려고 시도했으나 참담한 실패로 끝났다.

●CP프로젝트 교육현장 새바람

이는 교육실험 대상을 바꾸는 계기가 됐다. 하위 10%를 미래 런던의 주역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시동을 건 것이다. 모핏은 “9년 동안 CP를 체험한 아이들이 1만 2800개 학교, 94만여명에 이른다.”면서 “수년 뒤 이들이 런던 사회의 주류가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는 “어떤 분야보다 사회와 교류가 가장 많이 일어나야 하는 곳이 교육”이라며 “창의성을 바탕으로 인재를 길러내는 학교는 향후 런던을 문화와 예술로 상징되는 세계적인 도시로 만들어내는 또 다른 주력부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영어를 못한다는 이유로 급우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했던 아프리카 출신 퉁가(18)는 미술 시간에 런던 화가들한테서 피카소 수업을 들으면서 학교 교육에 참맛을 느꼈다. 일 년이 지난 뒤 그는 런던 잡지사의 도움으로 자기 이름이 박힌 미술기사를 만들고 있다.

인도계 소녀 밀리(16)는 영화감독의 도움으로 올해 말 런던올림픽 주 경기장이 들어서는 스트래트퍼드를 무대로 장애인올림픽 영화를 찍을 계획이다. 인종주의와 열등감에 시달리던 아이들이 교실의 변화와 더불어 평등과 파트너십을 배우고 스스로 삶에서 의미 있는 가치를 발견해 나가고 있다. ‘런던파워’의 예비 주역들이다.

런던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7-20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