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다·나·까 힘들어도 나는 한국인”

[커버스토리] “다·나·까 힘들어도 나는 한국인”

입력 2014-02-22 00:00
업데이트 2017-12-04 1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외영주권자 박헌·전진길 훈련병

육군훈련소가 연간 배출하는 훈련병은 12만명. 나이, 직업 무엇 하나 공통점 없는 이들이 한데 모여 분대장의 지휘에 따라 5주간의 훈련을 거친 후 늠름한 대한민국 군인으로 태어난다. 이 가운데 국외 영주권자들은 관심의 대상이다. 외국 영주권을 가졌거나 영주할 목적으로 국외에 거주하면 병역의무가 없음에도 ‘뿌리를 찾겠다’며 군 입대를 주저하지 않은 이들이기 때문이다. 육군훈련소에 따르면 2007~2012년까지 그 숫자는 1000여명에 이른다. 지난 19일 육군훈련소에서 국외 영주권자인 박헌(23)·전진길(20) 훈련병을 만나 입대를 결정하게 된 이유 등을 들어 봤다. 또한 우수 분대장의 입을 통해 ‘훈련소 생활 잘하는 법’을 전한다.
이미지 확대
국외 영주권자인 박헌 훈련병이 지난 19일 육군훈련소에서 늠름하게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논산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국외 영주권자인 박헌 훈련병이 지난 19일 육군훈련소에서 늠름하게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논산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끈기와 열정, 도전 등으로 대표되는 한국인의 정신을 배우고 뿌리를 찾고 싶다.”(박헌 훈련병)

“단체 생활을 통해 서로 양보하고 맞춰 가는 문화를 배우고 싶다.”(전진길 훈련병)

19일 충남 논산시 육군훈련소에서 만난 박헌·전진길 훈련병은 국외 영주권자로서 군 복무에 대한 의무가 없음에도 입대를 결심한 이유를 이렇게 밝혔다.

박 훈련병은 1991년 부모님이 일본에서 유학 생활을 하던 중에 태어났다. 초등학교 6학년 때인 2004년 미국으로 간 뒤 잠시 한국에 돌아왔다가 고등학교 1학년 때 혼자 미국으로 유학을 갔다. 이후 미국 영주권을 취득해 뉴욕주립대에서 금융공학을 공부하던 중 졸업을 한 학기 남기고 지난 1월 귀국했다.

전 훈련병은 4세 때이던 1997년 간호사였던 어머니를 따라 미국에 갔다. 청소년기를 낯선 환경의 미국에서 보내고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혼자 한국에 돌아와 아버지와 생활해 왔다. 입대를 결심하는 데는 해병대 출신 가족들의 응원과 지지도 한몫했다. 전 훈련병의 가족은 해병대 사랑으로 유명하다. 증조부를 시작으로 할아버지, 큰아버지 4명, 아버지까지 모두 7명이 해병대 출신이다. 전 훈련병은 “아버지께서 해병대는 아니더라도 군대에 가서 한국의 조직문화를 한번 배워 보라고 권유하셨다”고 말했다. 이들은 나란히 소대장으로서 56명의 훈련병을 인솔하는 등 군 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지만 어려움이 없는 건 아니다. 박 훈련병은 “시간을 정확히 지키거나 모든 것을 질서 있게 정리·정돈해야 하는 부분은 아직 생소하고, 오(伍)와 열(列)등 군대용어를 무조건 외워야 하는 게 낯설다”고 말했다. 전 훈련병 역시 “말끝마다 ‘-다’ 나 ‘-까’를 붙여야 하는 건 지금도 많이 힘들다”고 토로했다. 앞으로 남은 4주간의 훈련을 마치면 이들은 수료식 후 전국의 각 자대로 배치될 예정이다.

논산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4-02-22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