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혁 선임기자의 가족♥男女] 성별 구분 통계는 양성평등 이정표

[김주혁 선임기자의 가족♥男女] 성별 구분 통계는 양성평등 이정표

입력 2014-06-02 00:00
업데이트 2014-06-02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인지 통계

성인지 통계는 남성과 여성의 상황과 특성을 알 수 있도록 집계된 자료를 성별로 구분한 통계다. 성별로 불평등한 현실을 파악해 문제의식을 갖고 양성평등을 위한 대안을 도출하게 해주는 이정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성별영향분석평가 및 성인지 예산 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다.

성별로 분리되지 않은 수치와 분리된 수치는 의미 해석에 큰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경제활동 참가율(2014년 4월 기준)을 성별 구분 없이 연령별로만 보면 20대(63.5%), 30대(76.5%), 40대(81.5%)에 계속 증가한다. 그러나 성별로 보면 남성은 20대(62.5%), 30대(93.9%), 40대(95.2%) 모두 증가하는 반면 여성은 20대(64.3%)를 지나 30대(58.4)에 감소했다가 40대(67.5%)에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출산 후 경력단절 등 때문이다. 전체 통계만 보면 남녀의 서로 다른 상황을 파악할 수 없다.

성별 통계는 1970년대 양성평등이 각국에서 주요 의제로 채택되면서 필요성이 부각됐다. 그러나 성별로 작성된 통계가 거의 없어서 관련 정책 수립에 애로를 겪다가 1975년, 1995년 제1, 4차 세계여성대회에서 성별 통계의 중요성을 공식 인정한 이래 개선돼 왔다. 국내에서는 2002년 여성발전기본법이 개정돼 인적 통계에서 성별 통계를 작성하도록 한 데 이어, 2007년 통계법 개정으로 정부기관이 작성하는, 자연인이 포함된 모든 국가승인통계에 성별을 구분하도록 의무화했다. 정부기관의 요청에 따라 통계청이 승인한 국가승인통계 목록을 여성가족부에 보내면 세부 문항별로 성별 구분 관련 개선사항이 있는지 등을 성 인지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성별로 이해관계가 다르다고 보고, 특정 개념이 특정 성에 유리하거나 불리하지 않은지, 성 역할 고정관념이 개입돼 있는지 등을 살펴보는 것이다.

happyhome@seoul.co.kr

2014-06-02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