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톡톡 다시 읽기] 기원전 5세기 찬란한 그리스 비극은 소포클레스 그 자체다

[고전톡톡 다시 읽기] 기원전 5세기 찬란한 그리스 비극은 소포클레스 그 자체다

입력 2010-09-27 00:00
업데이트 2010-09-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포클레스가 활동하던 기원전 5세기는 아테네와 그리스 문화의 최전성기였다.

이미지 확대
기록에 남아 있는 소포클레스의 첫 등장 장면이 흥미롭다. 페르시아 전쟁 중 벌어졌던 살라미스 해전에서 그리스 동맹군이 승리를 거두었을 때, 15세 정도였던 소포클레스는 소년합창단의 선창자로 전쟁의 승리를 신에게 감사드리는 찬신가를 노래한다. 이 소년은 훗날 서른도 채 되기 전에 조국을 위한 노래를 직접 쓰는 비극 시인이 되어 디오니소스 제의 비극경연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다.

디오니소스 제의 비극경연대회는 매해 봄 아테네에서 신에게 봉헌되는 주요 의식이다. 이 대회는 국가가 지명한 시민들이 조직하고 부담하는 일종의 전 국민적 행사였다. 시와 노래, 춤과 웅변술, 고급예술과 대중예술이 어우러졌던 그리스 비극은 국가적 문화프로그램이었던 셈이다. 이런 의미에서 비극 공연은 아테네의 시민들이 자신과 조국에 대해 성찰하는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다.

‘오이디푸스왕’도 이런 비극 공연 중 하나였다. 이 작품은 에게해 일대에 전해 내려오는 그리스 신화를 소포클레스가 비극으로 다시 구성해낸 것이다. 내용상으로 보면 신화와 별다를 바 없지만, 가장 두드러지게 눈에 띄는 차이는 소포클레스의 비극이 시작하는 지점이다.

‘오이디푸스왕’의 서두는 모든 일이 다 벌어진 이후이다. 즉 오이디푸스가 예언대로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해서 테베의 왕이 되고, 그 때문에 테베에 역병이라는 저주가 내린 이후, 소포클레스의 비극이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오이디푸스가 겪은 비극적 사건보다는 그 운명 앞에 선 인간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선택된 구성방식이다. 이처럼 인간 존재의 운명을 되새기고 그를 성찰하는 비극이 공연되고, 무대 위에서는 장엄한 합창이 울려 퍼졌다. 이런 장에서 이루어지는 공동체의 체험이 아테네의 국가적 기획이었던 것이다.

어려서는 조국의 영광을 노래하고, 자라서 그 노래를 직접 쓰고, 아테네에서 생을 마감한 소포클레스. 사후 그는 ‘가장 아테네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칭호를 받는다.

그래서 소포클레스라는 이름은 한 개인이 아니라 아테네와 기원전 5세기라는 빛나는 시대 그 자체나 다름없다.

2010-09-27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