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北에 노여움 묻어나

MB, 北에 노여움 묻어나

입력 2010-05-24 00:00
업데이트 2010-05-24 11: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명박(MB) 대통령의 24일 천안함 사태에 대한 대국민 담화는 시종 결연함 속에 이뤄졌다.

 이 대통령은 담화문을 발표하는 10분 동안 차분하면서도 단호한 어조로 일관하며 천안함 순국 용사를 기리고 이번 사태에 대한 북한의 책임을 물었다.

 담화문 발표 장소 역시 이 같은 의미를 반영해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호국 추모실로 정했다.이곳은 올해로 60년을 맞는 6.25 전쟁 영웅들의 흉상과 동판 등이 전시된 곳이다.

 이 대통령은 오전 10시 이러한 21명의 호국영령 흉상이 좌우에서 지켜보고 있는 호국전시실 복도를 혼자 20초가량 걸어 마이크가 마련된 단상에 도착해 담화문을 발표했다.

 나라를 지키다 산화한 좌우의 호국영령을 보면서 천안함 순국장병의 모습이 겹친 듯 이 대통령은 시종 굳은 표정으로 단상까지 뚜벅뚜벅 향했다.

 또 뒤로는 호국영령과 옆으로는 대형 태극기가 보이는 곳에 단상을 배치해 담화문을 발표함으로써 나라를 지키다 순국한 천안함 장병을 기린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담화문 발표 도중 “북한 당국에 엄중히 촉구한다”며 책임을 묻는 부분에서는 단상에 가지런히 놓았던 양손을 한 데 모아 깍지를 끼면서 어느 때보다 단호함을 내비쳤다.

 이어 북한을 향해 “도대체 무엇 때문에,누구를 위해,이렇게 하고 있습니까”라는 대목에서는 목소리 끝이 올라가면서 경제 파탄으로 북한 주민이 굶어 죽어가는 와중에도 핵개발에 매달리는 북한 당국자들에 대한 안타까움을 넘어 노여움마저 묻어 나왔다.

 또 “천안함 46용사의 이름도 이곳에 영원히 새겨졌습니다”라고 하면서는 비통한 마음을 억누르려는 듯 목소리가 잦아들었다.

 한편,담화문 발표 직전까지도 원고는 수정을 거듭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북한의 책임을 물으면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름을 담화문에 직접 거론할 것인지를 놓고 조율을 벌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또 “우리의 영해,영공,영토를 무력침범한다면 즉각 자위권을 발동할 것”이라는 부분에서도 ‘무력침범’으로 마지막에 가서야 확정했다는 후문이다.

 또 이번 담화문 준비에는 사태의 위중함에 따라 외교.안보 부분의 관계자 뿐만 아니라 처음부터 정무,홍보 참모들까지 총동원돼 문구를 가다듬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의 담화문 발표에는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현인택 통일부 장관,김태영 국방부 장관,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 배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