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한미 서해훈련 과민반응

中, 한미 서해훈련 과민반응

입력 2010-06-23 00:00
업데이트 2010-06-23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의 전략경계선이 염탐된다.’

한국과 미국이 예고한 서해상에서의 양국 연합군사훈련에 대해 중국이 노골적으로 경계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베이징에서 발행되는 북경일보는 22일 ‘한·미 군사훈련이 황해(서해)를 뜨겁게 만든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미국은 천안함 사태를 구실로 한반도 서해안에 들어오려 하고 있다.”면서 “미국 항공모함의 황해 진입은 한반도 긴장을 더욱 고조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국방대학 리다광(李大光) 교수는 인터뷰에서 “미국 항모가 황해로 들어온다면 중국의 전략경계선과 연안 방위전력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면서 “항모를 황해 군사훈련에 참여시킬지 여부는 전적으로 미국의 결정에 달려 있지만 미국은 동아시아 평화라는 대국적 견지에서 보다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리 교수는 또 1994년 중국 근해에서 작전 중이던 미 항모와 중국 잠수함의 조우로 인한 양국 군사충돌 위기를 소개한 뒤 “항모 참여를 고집한다면 중국의 여론은 악화될 것이고, 양국 군사관계에도 오랫동안 해소되기 어려운 새로운 긴장이 조성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중앙방송(CCTV) 뉴스채널의 ‘글로벌 시선’ 프로그램도 전날 밤 군사전문가들을 출연시켜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의미 등을 집중 조명했다. 중국 인민해방군의 인줘(尹卓) 해군소장은 “미국의 경우, 통상적으로 항모전단 2개가 함께 움직인다는 점을 감안하면 ‘조지 워싱턴호’ 항모전단만 참여하는 이번 훈련은 중국에 보내는 일종의 정치·외교적 압력”이라고 분석했다. 인 소장은 또 “조지 워싱턴호의 탐색 능력은 반경 1000㎞가 넘는다.”면서 “산둥반도를 포함, 화북지방 대부분 지역이 미 항모의 작전반경에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군사전문가인 쑹샤오쥔(宋曉軍)은 “함재기 편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이들이 베이징과 톈진(天津) 문앞까지 근접한다는 것은 중국에 대한 도전이고, 매우 옳지않은 행위”라고 주장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0-06-23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