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의 ‘우문현답’ 공정사회론

임태희의 ‘우문현답’ 공정사회론

입력 2010-09-08 00:00
업데이트 2010-09-08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

‘공정(公正)한 사회’가 이명박 대통령 집권 후반기의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면서 정책기조의 창안자로 알려진 임태희 대통령실장의 철학과 발언이 주목받고 있다. 임 실장은 7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한나라당 지도부 월례회동에서 평소 즐겨 써온 ‘우문현답’이란 말로 정책실현 의지를 강조했다. 고사성어를 변형한 것으로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가면 답이 있다’는 뜻이다.

이미지 확대
임태희 대통령실장 연합뉴스
임태희 대통령실장
연합뉴스
임 실장이 생각하는 공정사회와 공정질서의 틀은 현 정부 출범 이후 여당 정책위원회 의장, 고용노동부 장관 등을 지내면서 해온 발언에 상당부분 녹아 있다. 지난해 12월 서울신문과 가졌던 인터뷰를 중심으로 주요 발언을 요약한다.

●네트워크산업 횡포에 콘텐츠 멍들어

우리는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 이런 것을 찾아내는 근간이 공정한 시장구조다. 그러나 그게 굉장히 어렵게 돼 있다. 다른 사람들이 생산한 소비재를 별다른 창의적 노력 없이 소비자에게 날라다 주는 방송, 홈쇼핑, 유무선 통신, 종합건설업, 대형마트 등의 횡포가 심하다. 대형 사업자들이 기초투자를 해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물건이나 콘텐츠 만든 사업자들이 이를 이용하게 되는데 우리나라는 대개 네트워크 사업자 쪽이 발달돼 있다. 경제적으로 이쪽이 갑(甲)의 위치에 서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을(乙)의 입장에 서 있는 콘텐츠 만드는 사업자들이 잘돼야 한다. 사람들이 창의력을 발휘하고 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곳은 주로 콘텐츠 산업 쪽이다.

갑을 관계 때문에 수익 배분의 비율도 불공정하고 비정상적이다. 유무선 통신을 기준으로 하면 수입의 80% 이상을 대형통신업체와 같은 네트워크 회사가 가져간다. 정부에서 처음 라이선스(인가)를 줄 때는 50대50 정도였는데 경제가 어려워지니까 갑의 위치에서 더 많이 뜯어내면서 균형이 깨졌다. 을의 위치에 있는 사업자들은 수입이 줄어드니까 망하고 문 닫게 되는 것이다. 드라마도 마찬가지다. 외주제작사에서 작품을 만들지만 판권은 KBS 등 방송사가 갖고 있다. 제작사에서 애써 만들어 한류 일으킨다고 동남아에 수출하려고 하면 방송사에 사용료를 내고 팔아야 한다. 이 사람들이 계속해서 재투자하고 더 좋은 것을 만들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줘야 하는데 구조가 전혀 그렇지 못하다.

●경제적 갑·을 관계 선진화 해야

게임산업에 근무하는 젊은이가 하나 있다. 이 젊은이가 게임을 새로 하나 개발했다. 이것을 대형통신업체나 대형포털업체에 실으려고 했더니 기술 다 넘기고 매출의 5%만 가져가라고 했단다. 이런 게 어딨냐고 했더니 싫으면 관두라고 했다더라. 네트워크는 공공재다. 정부가 라이선스를 준 것이다. 고속도로를 닦아 운영권을 가진 회사가 자기네 맘에 드는 자동차만 통행시키면 말이 되겠나. 그런데에 대해서 공무원들이 아무 문제제기 없이 지나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우리나라 민주화의 마지막 단계가 경제적 갑을(甲乙) 관계를 선진화하는 것이다.

김태균기자 windsea@seoul.co.kr
2010-09-08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