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경복궁 관리소, 조선총독부가 지은 건물”

“현 경복궁 관리소, 조선총독부가 지은 건물”

입력 2010-10-05 00:00
업데이트 2010-10-05 08: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정장선(민주당) 의원은 현재 경복궁 내 조선총독부 부속 건물이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정 의원이 이날 배포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현재 경복궁 관리소로 쓰이는 건물은 일제 식민통치 시기인 1915년 조선총독부가 박람회를 개최하면서 창고로 쓰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일제는 ‘시정오주년조선물산공진회’라는 이 박람회 개최를 시작으로 경복궁 전각을 대규모로 훼손하고 철거하기 시작했다는 게 정 의원의 설명이다.

당시 창고였던 건축면적 30.83평의 이 건물은 1945년 해방과 함께 국립박물관 창고로 사용됐으며, 1961년부터 문화재관리국 별관, 1971년부터 지금까지는 경복궁 관리소로 쓰여왔다.

정장선 의원은 “현 경복궁 관리소 건물은 경복궁 훼손의 시작을 상징하는 건물로, 아직 경복궁 내 일제 조선총독부 부속 건물이 남아있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경술국치 100년을 맞은 올해 철거를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정 의원은 “경복궁 고궁박물관 옆 잔디밭에 있는 국보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은 원래 법천사터에 있었으나, 1915년 일제의 박람회 때 경복궁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제자리를 찾아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